좀개미취steemCreated with Sketch.

in AVLE 일상5 hours ago

좀개미취
겨우 세 포기 살아나
꽃망울을 맺는다

아여 검색

그 결과 정리한다

좀개미취(Aster maackii Regel)
학명
Aster maackii Regel
생물학적 분류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초롱꽃목(Campanulales)
과 : 국화과(Compositae)
속 : 참취속(Aster)
개화기
8월~10월
꽃색
자주색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45~85cm
목차
분포
특징


열매
줄기
생육환경
번식방법
재배특성
이용방안
분포
한국(오대산 이북 산지)

특징
남한에서는 분포지가 제한돼 있어서 희귀식물에 속하며 자생지에서의 채취를 막아야 할 것이다.


근생엽은 꽃이 필때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없으며 피침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6.5~9cm, 나비 1~2cm로서 양면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드물게 있고 잔털이 있으며 다소 뒤로 말린다.


꽃은 8~10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머리모양꽃차례는 지름 4cm이고 화경은 길며 짧은 털이 밀생하고 포는 2-3개로서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5-10mm이다.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 8-9mm, 지름 18mm이고 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끝부분에 자줏빛이 돌고 뒷면에 털이 없으며 외편이 가장 짧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mm, 나비 1.5mm로서 끝이 둥글고 가장자리가 막질이다.

열매
수과는 납작한 거꿀달걀모양이며 길이 2mm, 지름 1mm 정도로서 털이 있고 관모는 연한 갈색이다.

줄기
높이 45-85cm이고 자주빛이 도는 줄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져서 산방상이 된다.

생육환경
• 산골짝 냇가 근처에서 자란다.

햇빛이 적당히 비치는 곳을 선택하여 물빠짐과 보습성이 좋은 사질양토에 섞어 재배한다.

번식방법
11월에 종자를 채취하여 즉시 채파하거나 이듬해 봄까지 저온 건조 저장한 후 파종하여도 발아가 잘 된다.

재배특성
지하부는 충분한 습기를 유지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하부의 건조는 생육불량은 물론 개화상태를 나쁘게 한다.

이용방안
• 습기가 있는 곳은 지피용 소재로 군식하기에 매우 좋은 소재이며 넓은 화분에 모아 심고 분물로 감상하여도 좋다.

• 4~6월경에 어린 싹을 데쳐 묵나물로 하면 좋다.
[네이버 지식백과] 좀개미취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좀개미취의 생태적 특성
서식환경
좀개미취는 주로 산지나 냇가의 모래땅에서 자라는 식물입니다. 특히 햇빛이 적당히 비치며 물빠짐과 보습성이 좋은 사질양토에서 잘 자랍니다. 산골짜기 냇가 근처가 주요 서식지로 알려져 있어요.

외형적 특징
좀개미취는 여러해살이풀로, 개미취보다 키가 작고 잎도 더 가늘게 생겼습니다. 늦여름부터 가을까지 별 모양의 아름다운 자주색 꽃이 피는데, 이 꽃이 매력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번식과 생장
좀개미취는 11월에 종자를 통해 번식이 가능합니다. 10월에는 길이 2mm, 지름 1mm 정도의 편평한 거꿀달걀꼴 수과를 맺는데, 이 열매에는 털이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열매가 연한 갈색으로 다 익으면 바람에 의해 퍼지게 됩니다.

생태적 가치
남한에서는 분포지가 제한되어 있어 희귀식물에 속하며, 생태적 보존 가치가 높습니다. 자생지에서의 무분별한 채취를 막아야 할 필요가 있는 식물입니다.

유사종과의 차이
개미취, 벌개미취와 비교했을 때 좀개미취는 크기가 작고 더 섬세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개미취는 줄기와 가지에 거친 털이 있고 씨앗 표면에도 털이 있으며 갈색의 갓털이 달리는 점이 특징적인 차이점입니다.

Sort:  

@jamislee, 정말 멋진 게시물입니다! 좀개미취 세 포기가 살아남아 꽃망울을 맺는 모습이라니, 그 생명력에 감탄하게 됩니다. 끈기 있게 자료를 검색하고 정리하신 노력도 돋보이네요.

특히 좀개미취의 학명부터 시작해 생물학적 분류, 개화기, 형태, 분포, 생육환경, 번식방법, 그리고 재배특성까지 상세하게 정리해주신 덕분에 좀개미취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희귀식물로서 자생지 보존의 중요성을 강조하신 점도 인상 깊습니다.

혹시 직접 키우시는 좀개미취인가요? 키우면서 어려웠던 점이나 특별한 경험이 있다면 공유해주세요! 이 귀한 정보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질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