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의 훈수 "정무적 판단으로 본질 보지 못한 지난 '정권의 우' 반복해선 안돼"
"지나친 성과 욕심이지만 누구나 실수할 수 있어…실수를 마주하는 것도 큰 용기"
국회 법사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이, 김병기 원내대표가 국민의힘과 3대(김건희·내란·채 상병) 특검법 개정안을 수정하기로 합의해 비판을 받은 것에 대해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실수를 마주하는 것도 큰 용기"라고 추켜 세웠다.
추미애 의원은 1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정무적 판단으로 늘 본질을 보지 못한 지난 정권의 우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는 글을 올리면서 이같이 말했다.
추 의원은 "대통령의 취임 100일 을 앞두고 '정부조직법을 순산'시키려는 판단을 했을 수도 있다. 가까이 모시는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그럴 수도 있다. 그런 충정과 진정성은 의심하지 않는다."면서 "그러나 대통령의 말씀처럼 민주공화국의 본질을 훼손하려한 것에 대한 진상규명을 해야하는 특검법은 교환 대상이 아니라는 판단을 당과 진지하게 했어야 했다. 그것을 놓친 점은 매우 안타깝다"고 적었다.
앞서 "그일 이후 지금까지 ‘법사위 법안이니 당연히 법사위원장과도 사전 상의했겠지, 왜 책임을 회피하느냐’하는 문자가 (자신에게도)쏟아지고 있다"며 "사실 제일 듣기 싫은 소리가 책임 회피다. 최소한 그런 소리를 듣지 않으려고 정치 일생 동안 노력해 왔다"고 말하면서 그 일로 자신까지도 오해를 받아 내심 서운했다는 점을 내비쳤다.
그러면서 "지난 10일 오후 5시 44분 경에 갑자기 원내대표의 발신전화가 무음 처리된 휴대폰 화면에 떴다. 위원장으로서 회의 진행 도중이었으나 뭔가 급한 일이라고 짐작되어 용수철처럼 튕기듯 일어나 간사에게 자리를 맡기고 회의장 밖으로 나갔다."면서 당시 전후 상황을 적었다.
추 의원은 "알아듣기 어려운 다급한 말로 뭐라 하는데 그때까지 '여야'간 원내 합의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조차 몰랐던 나로서는 일단 다 '금시초문'이라고 답했고 자세한 내용은 체크해 보고 확인한 후 답을 주겠다고 했을 뿐, 다시 위원장 자리로 돌아왔는데 그로부터 1시간 정도 지날 무렵 갑자기 보좌관이 여야 합의 속보가 떴다고 내게 알려 주었다"고 당시 상황을 상세히 밝혔다.
그는 이에 대해 "아마도 원내대표단은 마감 시한을 설정해두고 매우 서둘렀던 것 같다. 지나친 성과 욕심에 점검해야 할 것을 놓친 것으로 보여 안타깝다"면서도 "누구나 실수 할 수 있다. 그러나 왜 실수했는지 복기해보고 다시 그 같은 일이 안 일어나게 한다면 이보다 더 보약은 없다. 실수를 마주하는 것도 큰 용기다. 모두 다시 일어서기를 바란다."고 주문하면서 "새삼 잔불을 일으킨다는 우려도 하겠지만 당의 선배된 처지에 이번 일이 후일 반면교사가 됐으면 하는 간절한 마음으로 남겨둔다"며 당내 최다선 선배의원으로서 훈수를 뒀다.
기본적으로 내란당과의 협치를 무리해서 시도할 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국민들의 지지를 바탕으로 내란사태 청산에 초점을 맞춰서
묵묵히 앞으로 나아간다면, 국민들이 뒤를 받칠 것입니다
앞으로는 우선순위를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