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713] 화폐 프리미엄
"화폐 프리미엄, 더이상 통하지 않는다"라는 제목의 리포트를 리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L1 체인에 대한 기존의 가치평가 방식인 DES,GDP에서 지난번 한번 리뷰를 해드린 REV 방식으로의 근본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내용이 되겠습니다.
●화폐 자산 이론(Monetary Asset Thesis)이 힘을 잃고 있다: 시장은 대부분의 L1 토큰이 지속적인 화폐 프리미엄(monetary premium)을 가질 거라는 기대에서 점차 멀어지고 있다. 비트코인을 제외하면 자체 경제권을 가진 주권 통화로 평가받는 체인은 거의 없다.
●비트코인은 유일하게 예외로 남았다: 비트코인은 화폐(money)로 평가받는 유일한 L1이다. 그 가치는 생태계 수익성보다는 신뢰성(credibility)과 단순성에 기반하고 있으며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위상을 보여준다.
●시장 평가 기준이 바뀌고 있다: 투자자들은 점점 더 선별적으로 움직이며, 주기적이거나 단기적 활동에 의존하는 체인보다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만들어내는 체인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화폐자산이론이라 불리는 L1토큰의 화폐 프리미엄은 이제 비트코인을 제외하고 사라지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비트코인은 이제 유일 무이한 자체 경제주권 통화로 여겨지며 생태계 수익성보다 신뢰성/단순성에 기반한 가치를 평가받는 L1 코인으로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는 중입니다.
프레임워크 1: 실질 경제 가치(REV)
첫 번째 프레임워크는 REV(Real Economic Value, 실질 경제 가치) 배수(multiple)다. REV는 일반적으로 트랜잭션 수수료와 MEV 팁(tips)의 합으로 정의된다. Blockworks는 REV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네트워크 REV는 사용자 활동으로 생성된 블록체인의 가치 축적을 추적하는 표준화된 지표다. REV는 사용자가 트랜잭션 실행을 위해 지불하는 프로토콜 내(內) 트랜잭션 수수료와 프로토콜 외(外) 팁을 모두 포함하며 이는 온체인 거래에 대한 금전적 수요를 측정한다.
REV는 사용자 활동으로 생성된 블록체인의 가치 축적을 추적하는 표준화된 지표로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핵심 아이디어는 REV가 전통적인 현금 흐름(cash flow)에 가장 가까운 개념이라는 것이다. 즉, REV는 네트워크 차원의 경제 활동을 구체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한다. 이 모델에 따르면, L1 토큰은 예상되는 미래 REV에 대한 배수로 거래되어야 하며, 이는 주식이 미래 수익에 대한 기대치(할인된 미래 이익)를 기반으로 평가되는 방식과 유사하다. 이 관점에서 보면 L1은 전통적인 기업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으며 익숙한 재무 가치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될 수 있다.
REV는 레거시 금융에서의 PER에 유사한 개념으로 전통적 현금흐름의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으며 현재의 L1 체인의 가치가 미래 REV에 대한 배수의 가치로 정량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게 됩니다.
프레임워크 2: 화폐 프리미엄
두 번째 프레임워크는 L1 토큰이 향후 화폐 자산(monetary asset)이 될 가능성을 기반으로 일정 수준의 화폐 프리미엄(monetary premium)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여기서 화폐 프리미엄은 자산이 즉각적인 효용을 넘어 장기적으로 가치 저장 수단 또는 교환 매개체로 기능할 잠재력에 의해 더해지는 가치를 의미한다.
비트코인은 이 논지를 가장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비트코인은 REV가 상대적으로 낮고 온체인 유틸리티도 제한적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장 높은 가치로 평가받고 있다. 이는 시장이 비트코인을 단순 거래 처리량(transactional throughput)이나 경제 활동이 아닌, 화폐 자산으로서의 역할을 반영해 평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두번째 프레임워크는 화폐 프리미엄이 되겠습니다.
이것은 L1 체인에 대한 전통적 방식의 가치측정 방식 중 하나로 L1 코인이 향후 화폐자산이 될 가능성을 일정수준의 프리미엄으로 환산하여 부가되어야 한다는 관점이 되겠습니다.
대표적인 체인이 비트코인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향후 화폐자산이 될 가능성이 높은 몇몇 POW 체인 혹은 POS 체인 중 중요한 마켓쉐어를 가지고 있는 이더리움 등에 적용되는 프레임워크라 할 수 있겠습니다.
내일은 이어서 DES 관련한 내용을 추가로 리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편안한 휴식과 함께 하시기 바랍니다.~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5.60786990426852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
@seraphim502, 흥미로운 코빗리서치 리포트 리뷰 감사합니다! 👏 "화폐 프리미엄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는 도발적인 제목처럼, L1 체인 가치 평가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군요.
특히 REV(실질 경제 가치)라는 새로운 지표를 통해 L1 토큰을 전통적인 기업처럼 평가할 수 있다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비트코인만이 화폐 자산으로 남고, 나머지는 실질적인 경제 활동을 통해 가치를 증명해야 한다는 분석도 날카롭네요. 👍
DES 리뷰도 기대하며, 앞으로도 좋은 분석 부탁드립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REV가 L1 체인 평가의 새로운 기준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댓글로 의견 나눠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