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818] K-비트코인 현물 ETF가 온다#5

비트코인에 이어 2024년 7월 이더리움 현물 ETF 출시

비트코인 넘어 이더리움까지

2024년 5월, SEC가 이더리움 현물 ETF 8종의 상장 신청서(19b-4)를 승인하며 비트코인을 넘어선 상품군 확장에도 시동
2023년 10월 이더리움 선물 ETF가 승인된 이후 현지 운용사들은 현물 출시를 위한 제반 작업을 지속해왔으며 2024년 7월 23일 현물 ETF 9개가 동시 상장 됨
그 동안 이더리움 현물 ETF 출시를 가로막았던 주 원인은 이더리움의 블록체인 모델이 지분증명(PoS) 방식이었기 때문. 그러나 2024년 5월 SEC가 운용사들로 하여금 이더리움 현물 ETF 신청서에 ‘증권성’ 있다고 해석될 수 있는 문구를 삭제하도록 요구하면서 현물 ETF 출시가 가시화되기 시작
이후 운용사들은 스테이킹(Staking, 검증 참여에 따른 보상 획득) 관련 내용을 삭제해 재심사를 요청했고 결국 약속된 7월, 이더리움 현물 ETF 9개가 미국 증시에 동시 상장

"SEC가 운용사들로 하여금 이더리움 현물 ETF 신청서에 ‘증권성’ 있다고 해석될 수 있는 문구를 삭제하도록 요구"라고 하는 부분은 상당히 상징적인 문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결국 이더리움 현물의 걸림돌이 되었던 스테이킹 관련한 증권성 시비 부분은 자의적 해석이 가능한 부분이었다는 반증이 되겠습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에 이어 알트코인 ETF 까지

비트, 이더에 이어 알트코인 ETF도 허용

또한 2025년 7월, 최초의 알트코인(솔라나) 현물 ETF ‘SSK’가 출시
REX-OspreyTM SOL + Staking ETF(SSK)는 솔라나(SOL)에 투자하는 동시, 해당 자산의 스테이킹을 통해 추가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이며, 보상은 ETF 순자산가치(NAV)에 반영되어 투자자들에게 귀속
더 나아가 SSK는 단순한 현물 보유를 넘어 스테이킹을 통한 수익까지 포함하는 구조화 상품으로, 기존의 가상자산 현물 ETF 대비 더
높은 보상과 리스크를 수반하고 있는 점이 독특
지금까지 미국에서 수많은 가상자산 관련 ETF가 출시됐지만, 스테이킹 보상까지 포함한 상품은 이번이 처음

이제 SEC는 현물보유+스테이킹 수익까지 허용하는 $SOL 기반 ETF까지 승인해 줌으로써 스테이킹 영역에 대해서도 증권성 시비를 없애주는 특단의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 ETH를 비롯한 다양한 알트에서 유사한 상품이 쏟아져 나올 것임을 암시해 주고 있는 듯 합니다.

이번 SSK 출시로 인해 같은 날(’25.5.30) 효력발생 후 수정신고서(Post-Effective Amendment)가 제출되었던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 ‘REX-OspreyTM ETH + Staking ETF(ESK)’ 승인 기대도 확산
스테이킹 기능을 포함하지 않고 있는 기존 이더리움 현물 ETF들의 아쉬움을 보완함으로써 차별화된 수요 창출 예상
또한 최근 SEC의 가상자산 ETF 출시 패스트트랙 도입*이 예고되고 있어 신규 알트코인 ETF, 멀티코인·스테이킹 ETF 등 상품 다변화 기대 *ETF 발행사는 간단한 S-1 등록서 제출→ 75일 심사→ 조건 충족 시 바로 상장 가능. 기존 약 240일 걸리던 승인 대기 기간을 75일로 단축

또한 ETF출시 패스트트랙을 도입함으로써 ETF 발행에 걸리는 시간을 240일에서 75일로 대폭 단축하고 있습니다.

SEC, 가상자산 ETF 공시 가이드라인 구체화

SEC, 가상자산 ETF에 대한 공시 가이드라인 구체화

7월 1일에는 SEC에서 미국 내 가상자산 ETF 발행 시 준수해야하는 공시 가이드라인을 확립
→ 요약, 위험요소, 사업설명, 기초자산, 지수/벤치마크, NAV 산정, 서비스 제공자 및 수탁, 주식(신탁 수익증권) 설명, 유통 구조, 경영진 및 이해상충, 회계처리 요소에 대한 실무 가이드라인 제시
SEC의 이번 성명서는 가상자산을 기초로 하는 ETF에 대해 본격적인 제도권 편입을 선언한 실질적 이정표라 할 수 있음
가이드라인의 명문화는 기관투자자 유입, 시장 신뢰도 제고 등에 중요한 기반, 향후 ETP 상품 확대에 있어 사전 요건이 구체화되었다는데 의미가 있음

(참고) 미국 정부의 크립토 생태계 확장 지원

美 Crypto Week, 3건의 디지털자산 법안 통과

7월 중순, 미국 의회에서는 ▲디지털자산 시장 구조법(CLARITY Act) ▲CBDC 금지법(Anti-CBDC Act) ▲스테이블코인 규제안
(GENIUS Act) 3건의 암호화폐 법안이 통과(또는 예정) 됨
최종 통과된 GENIUS Act는 미 연방 차원의 최초의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시도로, 핵심 내용으로는 1)준비금 의무화, 2) 투명성 강제, 3)소비자 보호 등 포함. 제도 적립, 규제 불확실성 해소 차원에서 가상자산 자금 유입 촉진이 예상되고 있음

GENIUS Act는 통과가 된 상태이고 나머지 2개법도 상원에서 타법과의 병합 등 절차를 거쳐 통과되는 과정을 겪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가상자산의 본격적 제도화를 통해 위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가상자산 기반의 금융혁신 주도권을 빠르게 확보해 나가겠다는 패권국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내일도 관련한 리뷰를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