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928] 주식시장 평균회귀전략
미국 시장 주가지수가 상당히 고평가 되어 있는 상태에서 향후 시장이 더욱 역동성을 발휘할 지 적당한 조정을 보이며 올라갈 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강세론자들은 향후 10년은 더 강세장이 진행될 것이라고 하고 약세론자들은 부채문제, 지정학갈등 등의 갖가지 이유로 강력한 조정을 예상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에 따라 증시의 오래된 이론 중 하나인 평균회귀이론을 적용하여 고평가된 주식을 팔고 저평가된 주식을 사는 것이 과연 효용성있는 전략인 지 살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
관련한 몇가지 재미있는 지표들을 살펴 보겠습니다.
미국 주식시장은 평균회귀(Mean-reverting)이 아닌 모멘텀 베팅이 압도적으로 유리한 시장
근본적으로 미국 주식시장 전체의 이익 모멘텀 연속성이 상당히 높고
한번 실적 주도주로 올라서면 끝까지 실적 주도권 유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
평균회귀 전략은 가끔 작동: 1) 구경제가 주도권을 잡거나
평균회귀 전략은 가끔 작동: 2) 실적 모멘텀이 붕괴하면 작동
평균회귀 전략은 가끔 작동: 3) 5~10년 이상 시계열에서는 평균회귀 우세
현재는 평균회귀 작동 조건에 해당하지 않음: 1) 신경제로 주도권 완벽한 이동
현재는 평균회귀 작동 조건에 해당하지 않음: 2) 실적 모멘텀이 강성해진 국면
현재는 평균회귀 작동 조건에 해당하지 않음: 3) 주도주 중심 실적 전망 강화
현재는 평균회귀 작동 조건에 해당하지 않음: 4) 실적 모멘텀, PER에 비례함
특히 미국시장은 현재 이익 모멘텀 연속성이 상당히 높은 상태라는 것이 전제 조건입니다.
과거 데이터를 보면 섹터별로 실적 주도주로 올라서면 3~5년간 지속적인 아웃퍼폼하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평균회귀 전략은 1)구경제가 주도권을 잡거나(03~07, 10~14년 case), 2)실적모멘텀 붕괴시 유효한 전략이 되겠습니다.
다만 5~10년짜리 중기 흐름에서는 평균회귀 전략이 의미가 있다 하겠습니다.(PER가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를 유지하기 힘듦)
현재로서는 신경제로 주도권이 완벽히 이동한 상태이고, 실적 모멘텀이 강력해진 국면이라 보입니다.
또한 주도주 중심 실적전망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평균회귀 전략보다는 달리는 말에 올라타는 전략이 타당성이 있는 국면이라는 생각입니다.
@seraphim502, this is a fantastic analysis of the US stock market! I'm particularly impressed by your deep dive into the mean-reversion theory and how it applies (or doesn't!) to the current market conditions.
The way you've presented the data, highlighting the strength of momentum investing in the US, is incredibly insightful. Those charts illustrating the earnings momentum and sector leadership are worth a thousand words.
Your conclusion – that sticking with leading stocks is more prudent right now – is a bold call. What are your thoughts on how long this period of "riding the wave" might last, and what indicators would signal a shift back towards mean reversion? I'd love to hear other's thoughts! Thanks for sharing your expertise!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5.64464398970747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