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930] KoAct 미국 나스닥 채권혼합50 액티브 ETF
오늘 상장하는 채권혼합형 ETF가 되겠습니다.
지수가 상당히 고점에 이르러 추가 투자하기 부담스러운 국면에서는 채권혼합형을 투자하는 것이 안정성 측면에서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더욱이, 금리가 장기적으로 하향하는 추세에 접어들고 있으므로 채권에서 어느정도 수익을 담보할 수 있는 좋은 시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대표 주가지수 중 하나인 나스닥 종합지수의 종목들과 한국 금융채들을 함께 편입하는 액티브 운용 방식의 ETF
미국 나스닥 종합지수의 구성 종목들 가운데 기술 트렌드와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주요 기업들을 선별하여 50% 비중의 위험자산(주식)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나머지 50% 비중은 국내 단기 우량 금융채들로 안전자산(채권)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조합
기술(AI 서비스/AI로봇), 에너지(발전/전력인프라), 인구(비만/뇌질환/항암제) 변화의 수혜가 기대되는 기업들을 선별하여 투자하는 적극적인 운용 전략이 활용된다. 팔란티어, 테슬라, 엔비디아, 알파벳, AMD, Shopify, Broadcom, Gilead Sciences, 메타, 넷플릭스,
Crowdstrike, Alnylam Phrma, Applovin, Microsoft와 CoreWeave 등의 종목들이 주식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주요 기업들
액티브 운용 방식의 ETF인 만큼, 비교지수와의 상관계수 0.7 조건 하에서 25개 내외의 종목으로 압축한 포트폴리오로 구성 및 운용
일전에 소개시켜드린 바와 같이 액티브 전성시대에 걸맞게 채권혼합형도 Active형으로 출시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비교지수(나스닥100)와의 상관계수 0.7 조건하에 25개 내외 종목으로 Active하게 운용이 될 것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채권 포트폴리오의 경우 ‘FnGuide 금융채권지수’가 비교지수의 하위지수로 설정되어 있다.
해당 지수의 경우 잔존만기 10개월 이상, 14개월 미만의 AAA등급 이상 은행채와 AA-등급 이상 여전채를 투자대상으로 하고 있다. 운용 과정에서는 평균 듀레이션을 1년 수준으로 설정하여 시장금리 변화에 따른 가격 변동성을 낮춰 놓는 한편, 회사채와 은행채 등에 투자 하는 채권형 ETN들과 단기 우량채권 ETF들을 함께 활용함으로써 국공채 대비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포트폴리오가 구성
주식 포트폴리오와 함께 채권 포트폴리오 비중을 50%로 구성하는 포트폴리오의 종목이기 때문에, ‘KoAct 미국 나스닥 채권혼합50 액티브 ETF’는 ‘채권혼합형 ETF’로 분류된다. 이 경우 감독 규정상 안전자산으로 인정되고, 퇴직연금 계좌에서 70%로 최대 비중이 제한되는 위험자산과 달리 100%까지 투자가 가능
다음 특징이자 장점으로는 퇴직연금 자산에서 100% 투자가 가능한 종목이라는 점이 되겠습니다.
성장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하면서 퇴직연금계좌의 수혜를 누리고자 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상품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2025.10.01) 기준 @jsup 2.0 후원 보팅 현황입니다.
jsup 2.0 - 업보팅을 다시 위대하게
@newiz -> @seraphim502 : 627.74sp
@jsup에 임대하시면 매일 업보팅을 받으며, 23일후부터 매일 큐레이션/패시브 보상을 받습니다. 후원 내역이 있을 경우 임대량에 합산되어 보팅됩니다. 개발자(@joviansummer) 지원 보팅 외에 수수료가 없어 수익률도 우수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5.64464304083524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