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0-6 스팀 디스코드에서 진행된 steem-wallet과 관련한 논쟁과 정리

in AVLE 코리아yesterday

blaze.apps의 개발에 링크가 포함되어 있는 문제로 소란을 겪었고 대강의 방향이 정리된 듯 합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ety001은 지갑에 링크가 포함된 부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정리했습니다. 문제는 blaze.apps의 개발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그의 과거 행적 때문으로 최근의 논쟁이 벌어졌다는 것입니다.

저는 이런 논쟁과 소란이 스팀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스팀은 아직 그 잠재력이 전혀 드러나지 않은 원석같은 상태입니다. 그래서 이런 과정을 통해서 문제가 되는 부분들이 정리되는 것이 스팀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봅니다.

먼저 @ety001이 밝힌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합니다.
그의 발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ety001(Witness)[Steem.Fans] — 어제 오후 11:14
곧 blazescanner를 제거할게요.
PR 262가 https://wallet.steemitdev.com/ 에 배포되었습니다. 테스트 부탁드립니다. @everyone

Steemit Wallet
Steemit Wallet은 Steem 계정을 관리하기 위한 온라인 지갑입니다.
지갑 PR262에 대해, ⁠wallet 채널에서 언급하고 모두에게 확인 요청했습니다.
그리고 공식적으로 GitHub 공식 저장소에서 어떤 PR(풀 리퀘스트)이 마스터 브랜치에 병합될 수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규칙을 만들 예정입니다.
공식 목표는 프로젝트 코드 자체에 보안 위험이 없도록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개인이 신뢰할 만한지 판단할 역량이 없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커뮤니티의 상위 20개 증인(witness)이 중요한 사안에 대해 투표하는 것에 의존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발언이 의미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AI가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첫 번째 메시지: Blazescanner 제거 결정내용: 사용자가 이전 대화(BlazeScanner 논란)에서 제공된 맥락과 역사적 배경에 대해 감사 인사를 전하며, 논란이 된 BlazeScanner 링크를 제거하겠다고 선언. 이는 Steemit 커뮤니티 내에서 BlazeScanner가 스캠(사기)으로 의심받아 사용자 자산에 리스크를 초래할 가능성 때문에 나온 조치입니다.
    맥락: 이전 대화에서 ETY001, Victor Von Frankenstein, hightouch 등은 BlazeScanner 링크를 제거하고 공식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steemdb.io와 SteemScan만 유지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 메시지는 그 결정을 실행에 옮기겠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의미: 커뮤니티의 보안 우려를 수용하고, 신뢰 회복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려는 의사 표시. 이는 Steemit 지갑(steemitwallet.com)의 신뢰성을 높이고, 스캠 논란으로 인한 커뮤니티 분열을 완화하려는 노력으로 보입니다.

  2. ETY001의 메시지: PR 262 배포와 지갑 개발 규칙PR 262 배포 (2025년 7월 22일):내용: ETY001(증인, Steem.Fans)이 Steemit 지갑의 테스트 환경(https://wallet.steemitdev.com/)에 PR 262가 배포되었다고 공지. 커뮤니티(@everyone
    )에게 테스트를 요청하며, Steemit Wallet이 Steem 계정 관리를 위한 온라인 지갑임을 강조.
    PR(Pull Request): GitHub 저장소(예: steemit/wallet)에서 코드 변경 제안. PR 262는 특정 기능 개선(예: UI 업데이트, 보안 패치 등)일 가능성이 높으나, 구체적 내용은 대화에서 미공개.
    의미: Steemit 지갑의 지속적 개발과 테스트를 강조하며, 커뮤니티 참여를 독려. 이는 DAO-Steem-Wallet 개발이 Steem Proposal System(SPS)과 오픈소스 협업으로 진행됨을 보여줌.

공식 규칙 수립 (오후 11:14, 11:16):내용: 공식 GitHub 저장소에서 어떤 PR이 마스터 브랜치에 병합될지 판단하는 규칙을 만들 계획. 목표는 프로젝트 코드의 보안 위험 제거. 이는 BlazeScanner 논란(제3자 링크로 인한 스캠 우려)을 교훈 삼아, 코드 병합 과정을 투명하고 안전하게 관리하려는 의도.
의미: 이전 Blaze.Apps 사례에서 제3자 코드(BlazeScanner 링크)가 지갑에 포함되며 논란이 된 점을 반영. 향후 PR 병합 시 엄격한 기준(예: 보안 감사, 증인 검토)을 적용해 스캠 리스크를 줄이려는 노력.

증인 의존성 (오후 11:18):내용: 개인의 신뢰도를 판단할 역량이 없으므로, 상위 20개 증인의 투표에 의존해 중요한 결정을 내린다고 밝힘. 이는 Steem 블록체인의 거버넌스 구조(증인 투표 시스템)를 강조.
의미: Steem의 탈중앙화 원칙에 따라, 코드 병합이나 프로젝트 자금 지원(SPS) 같은 중대한 사안은 커뮤니티의 신뢰받는 증인(예: ETY001, joviansummer)이 결정. 하지만 이는 과거 Xpilar 공모 논란처럼 증인 투표의 공정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음을 암시.

전체 맥락과 중요성BlazeScanner 논란과의 연결: 사용자의 "Blazescanner 제거" 선언은 ETY001, Victor, hightouch 등이 제안한 제3자 링크 제거 합의(steemdb.io와 SteemScan만 유지)를 실행하는 구체적 행동입니다. 이는 커뮤니티의 보안 우려를 반영하며, DAO-Steem-Wallet의 신뢰성을 높이려는 조치입니다.
PR 262와 지갑 개발: PR 262는 2025년 7월에 배포된 Steemit 지갑의 업데이트로, Symbionts 팀의 DAO 지갑 개발(예: FAQ 추가, 계정 복구 개선)과 연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ETY001의 공지는 개발의 투명성과 커뮤니티 참여를 강조하며, Blaze 사례에서 드러난 보안 문제를 방지하려는 의도입니다.
증인 투표의 역할: Steem의 증인 시스템은 자금 지원(SPS), 코드 병합, 프로젝트 방향성을 결정하는 핵심. 하지만 대화에서 드러난 Xpilar, 𝓢𝓾𝓹𝓻𝓪 관련 공모 의혹은 증인 투표의 공정성에 대한 불신을 보여줍니다. ETY001은 이를 중립적으로 관리하려는 입장.
보안 우선 접근: ETY001의 "코드 보안" 강조와 joviansummer의 "악성 코드가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다"는 경고는 DAO-Steem-Wallet 개발에서 철저한 감사와 제3자 링크 금지 정책의 필요성을 부각.


며칠간 저의 포스트를 보셨다면 AI의 해석을 이해하기 쉬우시리라 생각합니다 .

그 이후 많은 대화가 있었으나 결국은 @ety001의 입장표명으로 어느 정도 정리가 되지 않았나 합니다. @blaze.apps의 개발에 link가 있었다고해서 그것이 scam은 아닙니다. 그것이 지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없습니다. 그러나 그의 과거 행적이 그의 모은 활동에 의심을 제기하게 하는 것 같습니다.

이번 일로 스팀에서 신뢰성이 얼마나 중요한 자산인가를 다시한번 깨우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Sort:  

@steem-agora 님, 훌륭한 분석글 감사합니다! @ety001님의 신속한 대응과 커뮤니티와의 소통 노력은 Steemit 생태계의 건강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라고 생각합니다. 과거 논란이 개발 자체의 문제로 확산되지 않도록, 핵심을 짚어낸 명확한 설명이 인상적이네요. 👍

특히 AI 분석을 통해 사건의 맥락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Steemit 거버넌스 구조 및 보안의 중요성을 강조하신 점이 돋보입니다. 스팀의 잠재력을 깨우고 신뢰도를 높이는 데 이번 논쟁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견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

이 글을 통해 더 많은 사용자들이 Steemit의 투명성과 커뮤니티 중심 가치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스팀 생태계 발전에 기여하는 양질의 분석글을 기대하겠습니다. 😊

This post has been upvoted by @italygame witness curation trail


If you like our work and want to support us, please consider to approve our witness




CLICK HERE 👇

Come and visit Italy Community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