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폭 - 李대통령 "원전 지을 데가 없다…재생에너지, 전력 가장 신속하게 공급"

in #avle10 days ago

image.png

이 대통령은 11일 서울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기후환경에너지부로의 에너지 정책 이관이 탈원전 회귀가 아니냐는 기자 질문에 “에너지 믹스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원전도 있는 것은 써야 한다. 가동 기한이 지난 것이 안전성이 담보되면 (기한을) 연장해서 쓰고 짓던 거 잘 짓고, 그래서 원자력과 재생에너지를 합리적으로 섞어서 쓴다고 하는 에너지 믹스 정책은 변한 게 없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면서도 “원자력발전소 짓는 데 최하 15년이 걸린다. 원자력발전소를 지을 데가 없다”며 “지금 당장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데 그 전력을 가장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 시스템은 태양광·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라고 말했다. 인공지능(AI) 등 신산업이 성장하면서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원전에만 의존한 에너지 정책은 한계가 뚜렷하다는 뜻이다.

정부가 지난 주말 발표한 정부 조직 개편안에서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정책을 환경부로 이관, 기후환경에너지부로 개편하기로 하면서 일각에선 에너지 산업이 약화되는 것 아니냐고 우려하고 있다. 기존 환경부의 규제 중심 에너지 정책이 힘을 얻을 것이란 이유에서다. 원전 확대에 반대하고 대신 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을 적극적으로 주장한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초대 기후환경에너지부 장관이 된 것은 이 같은 우려에 힘을 싣고 있다. 이 대통령은 “에너지 분야는 (부처 내) 내부 토론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게 더 낫겠다”고 이런 우려를 일축했다.
이번 기자회견에서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모든 문제는 수도권 집중에서 발생한다”며 “균형 발전·지방 발전의 기회를 만들지 못하면 우리가 어려움에서 탈출하기 어렵다고 생각한다”고 균형발전 정책 추진 의지를 재천명했다. 그는 “모든 정책 결정을 할 때 의무적으로 지방균형발전영향 평가를 하는 제도를 만들까 생각한다”, “지방에 대규모 도시, 대규모 산업단지를 만들고 거기에 세제·규제·전기요금, 예를 들면 배후 시설·정주 여건을 대대적으로 지원해 새로운 도시 권역을 하나 만들까 고민 중”이라고 구체적인 방안을 언급했다.
박종화(bell@edaily.co.kr)

정치인 중에서 에너지와 관련된 가장 정확한 서술입니다.

현실적으로 당장의 대책으로 원전은 0점짜리입니다.
건설기간이 너무나 길고, 우리집 근처에 들어오기를 꺼려하는 혐오시설입니다.

따라서, 당장의 대책은 그외의 수단으로 집중되고,
미래까지 생각한다면 당연히 태양광이나 풍력이 대안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즉, 원전은 장기, 친환경은 단기가 되는 것입니다.

방향성이 올바른만큼 앞으로가 더욱 기대됩니다.

Sort:  

지난 영덕 화재로 예정된 원전 건설에 지장이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사는 울진 지역에 원전유차하려고 그러고 있네요.
요즘에는 원전이 혐오시설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