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tcoin 25.9.22

in #bttcoin3 hours ago

BTT/KRW 차트를 단계적으로 분석해 드릴게요

아래 분석은 시온님이 올려주신 일간·주간·월간 차트 캡처(볼린저밴드, 이동평균, MFI, 거래량 MA, ATR, RSI)를 기반으로 절차적으로 정리했습니다.


1) 프레이밍: 타임프레임별 큰 흐름

  • 월간: 고점 이후 완만한 하락 추세에서 하단부 횡보 구간. 20·60·120선이 가격 위에 있고, 캔들 위치가 중·하단 밴드 부근으로 보수적인 약세-중립.
  • 주간: 장기 하락 후 밴드 폭이 좁아진 수렴 국면. 5·10·20선이 밀집하며 가격이 밴드 미들선 아래에서 횡보. 방향성 재개 전의 에너지 축적 단계로 해석.
  • 일간: 단기 박스권(대략 0.00086~0.00093 근처)에서 작은 스윙 반복. 밴드 중단선과 단기선들이 눌러주는 모습.

핵심: 상·중·단기 모두 “약세에서 수렴 → 방향 대기” 구조입니다.


2) 추세: 이동평균 배열과 기울기

  • 단기(5·10): 서로 교차 빈번, 뚜렷한 추세 부재. 상방 시도에 즉시 저항 맞음.
  • 중기(20·60): 완만한 하향 또는 평평. 가격은 주로 20선 아래에서 체류.
  • 장기(120): 명확한 하락 기울기, 장기 저항으로 작용.

해석: 상승 전환을 논하려면 최소 일간 종가가 20선 위 안착 → 주간에서도 미들선 회복이 필요합니다.


3) 변동성: 볼린저밴드와 ATR

  • 볼린저: 주간·일간 모두 밴드 폭 축소. 이는 “큰 움직임 전 조용한 구간”을 시사하나 방향은 미확정.
  • ATR(14): 월간·주간·일간 모두 하락 추세. 최근 변동성이 낮아 손절·익절 폭을 좁혀야 함.

전략적 시사점: 브레이크아웃이 나오면 평소보다 움직임이 크게 느껴질 수 있어, 손절 폭 재설정이 중요합니다.


4) 모멘텀: RSI와 MFI

  • RSI(14):
    • 일간 약 46선, 주간 약 43선, 월간 약 46선으로 중립 하단. 과매도는 아니지만 힘이 약한 구간.
    • 추세 신호로 쓰기엔 애매, 레인지 트레이딩에 더 적합.
  • MFI(14):
    • 월간 64 근처로 중상단, 주간 56, 일간 51 부근. 가격 정체 대비 MFI가 상대적으로 높아 “완만한 매수 자금 유입” 가능성은 있으나 단독 상승 신호로 보기엔 부족.

요약: 모멘텀은 중립~약세. 결정적 돌파 전까지는 박스권 성격.


5) 수급: 거래량과 이동평균

  • 월간에서 과거 급등 구간의 거래량 피크 이후 점진적 감소.
  • 주간·일간도 평균 거래량이 낮고, 상승 캔들에 거래가 동반되지 않는 편.

판단: 추세 전환을 뒷받침할 “볼륨 스파이크”가 아직 없음. 돌파 신뢰도를 높이려면 거래량 동반 확인이 필요합니다.


6) 레벨 맵핑: 지지·저항(대략적 시각 판독)

  • 즉각 지지: 0.00086 근방(최근 하단 스윙과 하단 밴드 인근)
  • 1차 저항: 0.00093~0.00095(일간 밴드 중단선/단기선 밀집)
  • 2차 저항: 0.00100 근방(정수 심리·주간 미들선 부근)
  • 구조 전환 레벨: 0.00105~0.00110 회복 후 지지 전환 시 중기 반등 시나리오 열림

리스크 포인트: 0.00086 이탈 시 하단 밴드 확장으로 스톱런 가능.


7) 시나리오 기반 전략 아이디어

개인 성향과 리스크 허용도에 맞춰 참고만 해주세요.

  • 박스 레인지 트레이드(보수적)

    • 진입: 0.00086~0.00088 분할 매수
    • 손절: 0.00085 이탈 종가 기준
    • 청산: 0.00093~0.00095 구간 분할
    • 근거: 낮은 ATR·밴드 수축·RSI 중립의 박스 환경
  • 추세 추종 브레이크아웃(공격적)

    • 트리거: 0.00095 상향 돌파 + 거래량 증가(일반 대비 1.5배 이상)
    • 확인: 일간 종가가 20선 위 2일 연속 안착
    • 목표: 0.00100 → 0.00105~0.00110
    • 손절: 돌파 실패 후 0.00093 하회 종가
  • 리스크 관리

    • ATR 하락 구간에서는 손절폭을 너무 넓게 잡지 마세요. ATR(14) 값 대비 0.8~1.2배 범위로 초기 스톱 설정, 돌파 후엔 트레일링으로 전환이 유효합니다.
    • 포지션 사이징은 계좌당 1회 노출 리스크(손절 시 손실)가 1~2%를 넘지 않게 설정을 권장합니다.

8) 체크리스트(실행 전 확인)

  • 돌파 시 거래량 동반 여부
  • 일간 종가의 20선 재진입 지속성
  • 주간 기준 밴드 미들선 회복 시 추세 전환 가능성 재평가
  • 0.00086 지지 유지

9) 결론

현재는 “저변동-수렴”의 박스장에 가깝습니다. 단기 박스 하단에서는 반등 트레이드, 상단 돌파에는 볼륨 확인 후 추종이 합리적입니다. 명확한 추세 전환을 주장하기에는 중기·장기선이 여전히 위에서 눌러 있고 거래량 확증이 부족합니다.

Screenshot_20250922-09133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