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tcoin 25.9.24

in #bttcoin13 days ago

비트토렌트(BTT/KRW) 차트를 절차적으로 분석드리겠습니다

아래는 상위→하위 타임프레임(top-down)과 가격구조→수급/모멘텀→변동성→트리거/시나리오 순서입니다. 첨부하신 60분·240분·일봉을 기준으로 읽었습니다.


1) 핵심 가격 레벨(구조)

  • 일봉

    • 지지: 0.000850대(수평 지지 시도), 0.000843~0.000845(하단 꼬리대)
    • 저항: 0.000875~0.000885(단기 이평과 최근 몸통 저항), 0.000900 부근(중요 심리/이평 밀집)
    • 구조: 완만한 하락 추세 속 하단 밴드 접촉 후 지지선 위에서 작은 반등 시도.
  • 240분

    • 지지: 0.000855 전후의 박스 하단.
    • 저항: 0.000870~0.000878(5·10·20 이평이 하향정렬된 공급대), 그 위 0.000885.
    • 특징: 연속 하락 뒤 저점 근처에서 옆으로 기는 보합 박스.
  • 60분

    • 박스 범위: 0.000855±(하단) ~ 0.000868~0.000870(상단).
    • 상단 위에는 하락하는 60·120 이평이 눌러대는 구조.

요약: 0.000855가 단기 분수령입니다. 위로 0.000870~0.000885 구간 저항이 촘촘합니다.


2) 수급/모멘텀(MFI, RSI, 캔들)

  • 일봉

    • MFI 14: 약 40대 초반. 과매도는 아니나 하단권.
    • RSI 14: 41~42대. 약세 추세 영역에서 횡보.
    • 캔들: 하단 꼬리 후 작은 몸통. 매도 압력 둔화 신호지만 전환 신호는 약함.
  • 240분

    • MFI 약 25 전후에서 저점 낙폭 과다 후 바닥 다지기.
    • RSI 35대에서 횡보. 약반등 여지 있으나 추세는 약세.
  • 60분

    • RSI 46대, 중립선(50) 아래. 추세 동력 부족.
    • 캔들 몸통 작고 윗꼬리 반복 → 매수 주도권 미확보.

해석: 수급은 회복 초기 단계도 아닌 정체 상태입니다. 반등은 가능하나 ‘약반등’ 성격이 우세합니다.


3) 변동성(ATR, 볼린저)

  • 일봉 ATR 14 감소세 → 큰 방향 이동 전 변동성 수축 국면.
  • 240분 ATR 고점 형성 후 하향 → 박스화 진행 신호.
  • 60분 볼린저 밴드 상·하단이 서서히 수렴 → 곧 이탈 방향으로 단기 방향성이 결정될 가능성.

4) 트리거와 확인 지표

  • 상방 전환 확인

    • 60분 종가 기준 0.000870 돌파 + 거래량 증가(직전 평균 대비 뚜렷한 확대).
    • 그 후 0.000868~0.000870 재지지 확인 시 신뢰도 상승.
    • 보조: 60분 RSI 50 상회 유지, 5·10·20 이평의 수렴 후 골든크로스 시작.
  • 하방 재개 확인

    • 0.000855 연속 이탈(60분 두 개 봉 이상) 시 하단 밴드 재하락 가능성.
    • 보조: 거래량 동반한 음봉 확장, RSI 40 하회 지속.

5) 시나리오별 계획

  • 시나리오 A) 기술적 반등(확률 중간)

    • 진입: 0.000870 상향 돌파 후 눌림 재지지 확인.
    • 목표: 0.000878 → 0.000885 → 0.000895 순.
    • 손절: 0.000865 하향 이탈 시 축소, 0.000860 하향 이탈 시 전량.
  • 시나리오 B) 박스 매매(확률 중간~높음)

    • 범위: 0.000855~0.000870.
    • 전략: 하단(0.000855±) 근접 분할 매수, 중단(0.000865~0.000868) 일부 청산, 상단(0.000870) 재저항 시 추가 청산.
    • 실패: 0.000855 깨지면 즉시 축소.
  • 시나리오 C) 하락 연장(리스크)

    • 트리거: 0.000855 이탈 후 되돌림이 저항으로 전환될 때.
    • 목표: 0.000848 → 0.000843 테스트.
    • 대응: 보수적이면 관망, 공격적이면 하단 재지지 확인 후만 역추세 진입.

6) 실행 체크(절차적)

  1. 레벨: 0.000855 지지/0.000870 돌파 여부 먼저 확인.
  2. 모멘텀: 60분 RSI 50 상회 유지되는지, MFI 상승 동반되는지 확인.
  3. 거래량: 돌파 봉에서 직전 평균 대비 확연한 증가가 있는지.
  4. 변동성: 60분 볼린저 상단/하단 이탈 방향으로 2~3개 봉 연속 이어지는지.
  5. 리스크: 진입 전 손절가 고정, 1회 손실 한도(R) 기준으로 수량 산정.

7) 결론 요약

  • 현재는 0.000855~0.000870 박스 정체 국면입니다.
  • 상방은 0.000870 돌파 전까지 추격 매수 매력 낮고, 0.000878~0.000885에서 매도 물량 대기 가능성이 큽니다.
  • 하방은 0.000855 붕괴 시 0.000843대 재테스트 가능성이 커집니다.
  • 변동성이 수축 중이라 조만간 방향성이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반드시 거래량 동반 여부를 1순위로 보시길 권합니다.

Screenshot_20250924-09143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