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tcoin 25.9.30
비트토렌트(BTT/KRW) 차트 절차적 분석
아래 내용은 시온님이 올려주신 3개 타임프레임(60분, 240분, 일봉) 스크린샷만을 기반으로, 동일 구간에서 가격·수급·변동성 신호를 단계적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1) 시장 구조(멀티 타임프레임 정렬)
- 일봉
- 최근 급격한 거래량 유입과 함께 강한 반등 캔들이 출현했으나, 여전히 중장기 이동평균 하단에 위치한 약세 추세 속 “반등 국면”.
- 반등 봉의 크기와 거래량은 의미 있으나, 추세 전환을 확정하려면 추가 추세 확인(2~3개 일봉의 고가·저가 상승 및 중심선 회복)이 필요합니다.
- 240분
- 대형 장대거래 발생 후 가격이 미들선 부근에서 옆으로 눌림. 상단 저항(직전 급등 고점대) 아래에서 횡보하는 “플래그/베이스” 가능성.
- 이동평균들은 아직 완전한 정배열이 아니며, 상위 평균선(예: 60·120)과의 충돌 구간에 근접.
- 60분
- 단기 이평들이 수렴하며 가격이 미들선 부근에 밀착. 상·하단 꼬리가 짧고 몸통이 작은 캔들이 연속해 “에너지 축적” 단계.
핵심: 상위 프레임은 약세 속 반등, 중간 프레임은 베이스 구축, 하위 프레임은 변동성 축소. 즉, “방향성 확장 직전의 정지 구간”입니다.
2) 수평 레벨(지지·저항) 도출
- 단기 지지: 0.000852~0.000854대(60분 기준 미들·단기 이평 밀집)
- 강한 지지: 0.000835~0.000842대(일봉 되돌림 후보/반등 전 저점 군집)
- 단기 저항: 0.000865~0.000870대(60·240분 윗꼬리 반복·미들/상단 밴드 겹침)
- 스윙 저항: 0.000890~0.000905대(240분·일봉 기준 급등 고점 전 하락 추세선/평균선 충돌 구간)
핵심: 0.000852~0.000870 박스가 현재의 전장. 상단 돌파 시 0.00089~0.00090 테스트, 하단 이탈 시 0.00084 부근 재확인 가능성.
3) 모멘텀·수급 신호(MFI, RSI, 거래량)
- RSI
- 일봉: 30대 후반→상향 전환(40대) 신호가 보이며 과매도 탈출. 아직 50 상단 안착은 미확인.
- 240분: 50~60 근방에서 완만히 꺾이며 조정. 50선 유지 여부가 관건.
- 60분: 50 전후 박스. 상단 돌파 시 단기 가속, 하단 이탈 시 눌림 확대.
- MFI
- 일봉: 70대에 진입하며 강한 자금 유입 흔적. 다만 급등 직후라 “과열→숨고르기” 구간일 수 있음.
- 240분/60분: 급등 피크 이후 하향 조정해 40~60대. 신규자금 유입이 둔화, 기존 물량 소화 국면.
- 거래량
- 일봉 대형 스파이크 이후 감소세. “신호 봉 발생 → 확인 대기” 전형적 패턴.
- 240분에서도 급등봉 이후 평균 회귀. 재돌파에는 볼륨 재확충이 필수.
핵심: 큰 돈이 한 번 들어왔고 지금은 소화 중. 다음 파동은 “거래량 재점화” 여부에 달림.
4) 변동성(ATR·볼린저)
- ATR
- 일봉·240분 모두 급등 직후 급증한 ATR이 서서히 낮아지는 중. 변동성 압축 재개.
- 볼린저 밴드
- 일봉: 하단 이탈 구간에서 상향 복귀 후 밴드가 벌어지려는 초입. 중심선(미들) 회복 유지가 중요.
- 60분: 밴드 수축. 상단선 이탈 시 단기 급등 탄성, 하단선 이탈 시 되돌림 확대.
핵심: 수축→확장 대기. 방향 트리거는 박스 상단/하단 이탈.
5) 시나리오별 전략
- 보수적 돌파 매수(확인형)
- 트리거: 0.000870 상향 돌파 + 60분 2봉 이상 안착, 혹은 240분 종가 안착.
- 진입: 0.000870~0.000875 재테스트 지지 확인 시 분할.
- 손절: 0.000860 하향 복귀 시 절반 축소, 0.000852 종가 이탈 시 전량.
- 목표1: 0.000890~0.000900
- 목표2: 0.000915~0.000930(상위 평균선·밴드 상단 접근 시 분할청산)
- 논리: 박스 상단 돌파 후 추세 형성 여부 확인형.
- 박스 트레이딩(단타형)
- 매수: 0.000852~0.000856 눌림에서 장대 음봉 종가가 아닌 반전 신호(핀바/장악) + 거래량 소폭 증가.
- 청산: 0.000865~0.000870
- 손절: 0.000848 종가 이탈.
- 유의: 상위 추세가 완전 전환 전이므로 레버리지·과도한 보유 시간 지양.
- 실패 돌파/하락 재개 대비
- 트리거: 0.000852 일봉 종가 이탈 + 거래량 증가.
- 대응: 보유분 축소 또는 헤지. 0.000842, 추가로 0.000835 테스트 가능성.
- 무효화: 0.000860 회복 시 헤지 해제.
6) 확인 체크포인트(실행 전)
- 돌파 순간 거래량이 직전 20봉 평균 대비 뚜렷하게 증가하는가?
- 240분 RSI가 50 상단을 유지·확대하는가?
- 돌파 후 되돌림에서 0.000870이 지지로 전환되는가? (가짜 돌파 필터)
- 비트코인 방향성이 동행 우상향인가? 알트의 단기 탄력에 결정적입니다.
7) 리스크 관리
- 포지션당 손실 한도: 총자산의 0.5~1% 내 관리 권장.
- 분할 진입·분할 청산으로 변동성 흡수.
- 급격한 뉴스성 스파이크(상장/소각/메인넷 등) 시 전략 일시 중지 또는 규모 축소.
8) 결론 요약
- 현재 BTT는 “대형 거래량 반등 이후 베이스 구축” 단계로 보이며, 0.000852~0.000870 박스가 핵심 전장입니다.
- 상단 0.000870 돌파·안착 + 거래량 재점화 시 0.00089~0.00090, 확장 시 0.000915대까지 열립니다.
- 하단 0.000852 이탈 시 0.00084대 재확인 가능성이 커지므로 손절 규칙을 명확히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