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출 (出門) 5
다리 힘을 건강하게 하려면 등산용 신발을 준비한다. 산에 오를 때 두 켤레를 준비하는데 앞 바닥이 얇고 뒤꿈치 쪽이 두꺼운 것은 산에 오를 때 쓰고 산에서 내려올 때는 앞 바닥이 두껍고 뒤꿈치가 얇은 신으로 때에 맞춰 갈아 신도록 동반하는 젊은이에게 휴대하도록 한다. 옛 사람에게 등산용 신발이 있으니 이것이 낡도록 신지 않고 버린다는 뜻이다.
足力尚健者,備遊山鞋。每製必二緉上山則底前薄後厚,下山則底前厚後薄,趁宜而著,命童子攜之。古人有「登山屐」,去屐前齒,亦此意
산에 오를 때는 짚신의 뒤꿈치가 두꺼운 것을 산에서 내려올 때는 앞 발바닥을 먼저 디디므로 거기가 두껍게 설계한 짚신을 따로 준비하여 다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두 켤레를 준비했다는 것이 흥미롭다. 고대 인체 공학 디자인 짚신이랄까?
노노항언(老老恒言)
노노항언(老老恒言)을 시작하며 | 자산의 머릿말(慈山序) | 개꿀잠(安寢) 1, 2, 3, 4, 5, 6, 7, 8, 9, 10, 11 | 아침 적응(晨興) 1, 2, 3, 4, 5, 6, 7, 8, 9 | 세수(盥洗) 1, 2, 3, 4, 5, 6, 7 | 음식(飮食) 1, 2, 3, 4, 5, 6, 7, 8, 9 | 먹거리(食物) 1, 2, 3, 4, 5, 6, 7, 8 | 걷기(散步) 1, 2, 3, 4, 5 | 낮잠(晝臥) 1, 2, 3, 4, 5, 6 | 야좌(夜座) 1, 2, 3, 4, 5, 6, 7 | 편히 지냄(燕居) 1, 2, 3, 4, 5, 6, 7, 8, 9 | 마음 살피기(省心) 1, 2, 3, 4, 5, 6, 7, 8, 9, 10 | 손님 맞이 (見客) 1, 2, 3, 4, 5, 6, 7, 8 | 외출 (出門) 1, 2, 3, 4,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