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 선제타격계획에 대한 분석과 해석 - 제1단계 작전을 중심으로 (15)
국군은 북한군이 그랬던 것처럼 서울 함락을 막고자 하는 정치적인 이유 때문에 작전술 차원의 융통성을 잃어 버렸다. 이런 요인이 작전 지도의 융통성과 탄력성을 상실하게 하였다. 그래서 채병덕 총참모장은 한강 이북에서 북한군과 교전하고 있는 국군을 철수하여 한강 이남에 배치하는 한강선 방어를 염두에 두지 않았다.11)
각주 11) 1950년 6월 26일 10시에 국방장관은 이승만 대통령의 지시로 '군 원로회의'를 소집했다. 이 자리에서 이범석(전 국방장관), 김홍일 소장(참모학교장), 김석원(전 제1사단장) 등은 의정부 정면에서의 공세이전을 반대하고 당시 상황을 고려 한강 이남에서의 결전, 즉 한강방어선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국방장관이나 총참모장에 의해 받아들여 지지 않았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 2권, p.67. 육군본부가 1950년 3월 작성하여 각 부대에 하달한 국군의 방어계획 <육군본부 작전명령 제38호> 에는 38도선에서 적의 공격을 저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전략적인 철수작전을 수행하면서 한강선, 대전선, 낙동강선에서 축차적인 지연전을 수행하도록 계획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이 계획은 개념 수준으로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 없었으며, 채병덕 총참모장의 전임인 신태영 총참모장 재직시 작성되어 1950년 4월에 총참모장으로 취임한 채병덕 장군이 이 계획의 의미와 철학을 이해하고 실천하겠다는 의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 > 1권, pp.641~648.
@greentree, this is a fascinating deep dive into the strategic missteps surrounding the defense of Seoul during the Korean War. Your meticulous research, evident in the detailed footnotes and references to the Defense Department's historical accounts, really brings this critical period to life. It's compelling how you highlight the political pressures that seemingly overrode sound military strategy, leading to a loss of flexibility and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fall of the city.
This post offers a valuable, nuanced perspective on a well-known historical event. I'm eager to see how your analysis continues and what other insights you'll uncover. Thank you for sharing this important piece of history. I'm sure others interested in military history and Korean War studies will find this insightful and thought-provoking. I encourage you to continue posting. Upvo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