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노병의 이야기(15)

<세계전투사를 바꾼 6.25 춘천전투 3일(14)>

인민군은 춘천시 문턱에 도달하지 못하고 서면쪽 나루터에서 "눈늪" "상중도" "가래모기"에 도달하지 못하고 나루터로 되돌아가려는 병사와 아무것도 모르고 의기양양 진격하려는 병사와 사상 병사를 끌고 가려는 자, 살려 달라고 고함지르는 소리, 머리위에서 시한탄이 터지고 작열하는 폭음소리로 부상자를 끌고 가는 병사들 간에 얽혀서 아수라장이 되어 지휘명령은 사라졌고 전투장이 아니고 마치 동네 시장 장사 터가 되고 말았다. 아니 지나친 표현으로 마치 링 속에서의 진흙탕 게임이었다. 저들끼지 불공자파(不攻自破)로 치지 않아도 스스로 부서져 등을 돌린 것이다.

머리위에 터지는 폭탄소리에 적병들은 자라목이 되어 웅성거리며 도망치고 부상병과 서로안고 뭉개로 기고 죽어가는 참상은 처절한 것이었다. 그야말로 옛적에 야산에서 보았던 "개미군단" 모양새와 다를바가 없다. 푸른 벌판은 시산혈해가 (시체가 산을 이루고 피가 바다같이 흘렀다는 뜻) 되었다. 적은 섬멸아닌 괴멸하였다. 인민군은 오후에서 밤늦도록 시체와 부상자 운반하는데 급급하였고 치열한 살상전투는 자동적으로 끝마쳐진다. 그것은 전선에 아군 없기 때문이다. 전투불능! 휴전아닌 정전도 아니고 도망치고 없으니 싸울 상대가 없자 자동적으로 멈춘 것이 신기한 일이라... 교전할 상대 병력이 없었다. 있을 수 없는 넌센스 같은 전투는 쉴 수밖에 없었다. 백기로 신호하는 예도 있었지만 전투라해서 무자비 잔인할 수 없었다.

피아 교전시간 7시간!(정오 12 30분) 경탄적 사건이다.

Posted using SteemX

Sort:  

🎉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the SteemX Team! 🚀

SteemX is a modern, user-friendly and powerful platform built for the Steem community.

🔗 Visit us: www.steemx.org

✅ Support our work — Vote for our witness: bountyking5

banner.jpg

@greentree, another gripping installment in your series on the Battle of Chuncheon! The vivid imagery you paint is incredibly powerful. The chaos and sheer pandemonium you describe at the river crossing, with soldiers caught between explosions and the desperate cries of the wounded, really brings the human cost of war to life. It's fascinating how this specific engagement, with the enemy forces essentially crumbling from within, played such a pivotal role in the broader conflict.

The phrase "진흙탕 게임" really resonated, capturing the messy, brutal reality far removed from any romanticized notion of warfare. And the detail of the "개미군단" analogy is a striking and memorable comparison. Thank you for sharing these important historical insights and personal perspectives. Looking forward to the next p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