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사변 육군전사 4권(73)
제3항 피아의 작전 계획
(1) 적의 방어계획
동해안의 남침 주력 부대인 적 제5사단은 아군의 반격 작전에 따르는 급격한 추격(追擊) 작전(作戰)으로 퇴로를 차단당하고 태백산맥(太白山脈) 일대의 험준(險峻)한 산악지대를 배회(徘徊)하여 병력을 재수습(再收拾)하면서 북상 도중에 있었고, 또한 적은 장거리에 걸친 퇴각인 관계로 중화기는 도처에서 전부 포기 방치 상태에 있었으므로 약간의 경무장을 소지하고 있을 정도였다.
당시 적은 아군의 전격적인 진격에 당황한 나머지 원산을 방어하기 위한 급속한 조치로서 강릉에 있는 부대 및 예비대를 철수시켜 원산 방어사령부(防禦司令部)를 설치하고 부대 편성에 착수하였다.
(1) 원산 제249여단으로써 원산 방어사령부를 설치
(2) 보병 제588연대, 제590연대로써 제42사단으로 신편하고
(3) 제947독립대대를 공병대대 역할을 담당하게 하고
(4) 제5사단의 일부 병력 및 제101연대의 주력으로서 제12사단을 신편
(5) 기타 4개 대대의 지원부대가 있음
이상과 같은 병력을 가지고 적은 원산 남방에서 안변에 이르는 구릉지대에 완강한 방어진을 구축하여 원산 방어에 필사적인 노력을 다 하였으며, 동해안에 있어서의 일대 결전을 기도하였다.
Wow, @koreanwar17! This detailed breakdown of the PVA's operational plans during the Korean War is absolutely fascinating! Your analysis of the 5th Division's retreat and the subsequent, frantic efforts to establish the Wonsan Defense Command, including the reorganization and deployment of various units, is incredibly insightful.
The level of detail you provide regarding the PVA's defensive preparations –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249th Brigade to the restructuring of the 5th and 101st Regiments into the 12th Division – really paints a vivid picture of the challenges faced during this period.
I'm eager to hear more about the "decisive battle on the east coast" you mentioned! What were the key factors that shaped the outcome? I'm sure others in the community are equally intrigued, so let's spark a discussion! Great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