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805] 8월 주식시장 전망#4

오늘도 어제에 이어 주식시장 전망 리뷰를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관세로 명시적 지출은 늘었지만, 미국 매크로 순항으로 얻는 묵시적 이익이 이를 상쇄

• 트럼프는 OBBBA 감세 부양안 입법과 부채한도 증액에 이어 관세 전쟁 승리까지 당초 의도했던 정책 목표 모두를 달성. Trump Put격 경기부양과 투자촉진에 나설 모든 채비를 끝마쳤다는 의미
• 미국 비국방 자본재 신규주문 증가로 환기되는 미국 매크로 No Landing 순항 환경은 한국 대미 수출 개선과 한국증시 외국인 러브콜 확대에 긍정적으로 작용
• 국내증시 외국인 현물(PR 비차익)과 기관(금융투자) 현물(PR 차익) 수급에 동선행하는 외국인 KOSPI200 지수선물(또는 파생/패시브) 수급은 AAII(전미 투자가 협회) S&P500 Bull% - Bear% 투자심리 서베이 스프레드 환경 변화에 연동. 미국 증시 Bull Sentiment 강화가 국내증시 외국인 러브콜 확대로 직결되는 셈
• 관세로 한국 경제/사회 전반의 명시적 비용 지출이 늘어난 것은 사실이나, 미국 경제/증시 고공비행으로 얻는 묵시적 이익이 그 보다 작지는 않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

한국시장이 올해는 미국과의 양극화의 길이 아닌 동행의 길을 걷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습니다.

② 8~9월 중국 공급 구조조정과 ‘신질 생산력‘ 중심 정책부양의 가세

• 미중간 30~50% 내외 관세 협상 타결을 전제하더라도, 장래 중국 수출 전망은 중립 이하 기류가 우세(수출에 9개월 선행하는 제조업 PMI 신규 수출 주문의 지속 하락)
• 리오프닝 이후 내수 침체 장기화와 구조적 공급과잉은 디플레이션(유동성 함정) 고착화를 자극. 장기 디플레이션은 추가 수요부진과 공급과잉의 악순환으로 확산
• 시진핑은 7/1일 중앙재경위원회를 통해 ‘전국 통일 대시장 구축’을 실물경기 부양과 디플레 타개를 위한 정책 목표로 제시했고, 이의 달성 전략으로 ‘5통일 & 1개방’에 근거한 내재적 과잉경쟁 해소와 공급 구조개혁을 강조. ‘5통일 & 1개방’: 1) 시장 제도, 2) 인프라, 3) 행정 기준, 4) 감독 체계, 5) 요소시장의 통일, 6) 대외 개방
• 7월 중앙정치국회의는 ’16~’18년(공급 구조개혁 1.0) 당시에 필적하는 공급 구조개혁 2.0 사이클 본격화를 알리는 선포의 장이 될 공산이 크고, 정책 당국은 8~9월 중 공급측면 구조조정과 함께 AI/빅데이터/저고도 경제(드론 및 상업항공)/로봇/스마트카 등 ‘신질 생산력’ 중심 적극적 재정 투자/부양에 박차를 가할 전망

중국은 그동안의 공급발 디플레이션으로 인한 침체화된 경기를 공급 구조개혁 2.0 선포 및 신질 첨단산업 중심 적극 재정부양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는 것 같습니다.

’16~’18년 공급 구조개혁 Redux: 매크로 게임 체인저보단 증시 학습효과에 방점

• ‘16~’18년 공급 구조개혁 1.0 사이클은 철강/석탄/시멘트/화학/유리 등 업스트림(또는 소재) 부문 적극적 감축(공급곡선 좌측 이동)에 ’16년 이래로의 주택시장 및 대외 수출경기 호황(수요곡선 우측 이동)이 가세. 디플레이션 타개와 함께 실물경기 및 기업이익 개선이 가능했던 이유(P & Q 동반 상승)
• ‘25년 구조조정 2.0 사이클은 전통 소재/업스트림 부문에 더해 EV(자동차+배터리), 플랫폼, 태양광, 비철금속 등으로 구조조정 범위가 확대. 단, 과거와는 달리 부동산 시장과 수출경기 등의 수요환경은 중립 이하 기류가 절대적으로 우세한 바, 디플레 개선(P 상승)은 일부 가능하더라도 경기회복(Q 증가)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로 제한
• ‘25년 공급 구조조정 관련 증시 영향이 중장기 매크로 게임 체인저보단 국내외 소재/업스트림 부문 단가 상승을 자극하는 정촉매 성격이 보다 우세하다 판단하는 이유
• 실제, 과거 중국 공급 구조조정은 한국 시클리컬(소재/산업재) 섹터 전술적 유용성 강화의 마중물로 작용. 관련 학습효과를 8~9월 시장의 알파 원천으로 활용할 필요

전통적으로 중국의 공급 구조조정으로 인한 주가 상승이 한국 시클리컬 업종의 동반 상승 랠리를 이끌어 왔다는 설명입니다.

중국 구조조정은 한국 시클리컬 괄목상대와 외국인 러브콜 추가 확대의 긍정요인

• 한국 대중국 수출 여건은 중국 Restocking(NBS 제조업 PMI 신규주문 – 재고 스프레드를 Proxy로 활용) 환경 변화에 9개월 가량 후행
• ‘25년 중국 구조조정 2.0은 재고 감축/도태와 Restocking 환경 개선을 경유해 한국 대중국 시클리컬/업스트림 관련 품목 수출 개선에 일조할 개연성이 높음
• 만일, ‘신질 생산력’ 중심 적극적 재정투자 영향이 수요개선(신규주문 증가)으로 반영될 경우, 한국 경제/증시의 직간접적 수혜는 가일층 확대될 소지가 다분
• IT 섹터 KOSPI 시가총액 비중은 31.2%이나 종목 수 비중은 9.1%로 한정. 반면, 시클리컬 시총 비중은 37.2%로 IT와 유사하나 종목 수 비중은 61.1%로 절대적
• 결국, 8~9월 중국 공급 구조조정은 낙폭과대 한국 소재/산업재 투자대안 괄목상대의 트리거로 작용하는 한편, 글로벌/EM 투자가측 시클리컬 주도 한국증시 선호도 추가 개선을 견인하는 긍정요인으로 기능할 것으로 판단

8~9월 중국 공급 구조조정은 결국 시차를 두고 한국의 소재/산업재 섹터의 주가상승 트리거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입니다.

내일은 한국의 구조개혁 노력에 대해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활기찬 하루들 되시기 바랍니다.~

Sort: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5.21793536434496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