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807] 8월 주식시장 전망#6

오늘도 어제에 이어 주식시장 전망 리뷰를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재명 정부의 “첨단산업 국민펀드”

• 대선 당시 이재명 대통령은 AI 등 첨단전략산업 지원을 위한 100조원 “첨단산업 국민펀드” 조성을 강조. 정부 출자를 통한 50조원 규모의 펀드 조성과 연기금 및 민간의 참여를 통한 추가 50조원 확보 계획을 발표. 최근 첨단산업 국민펀드 조성이 가시화되는 움직임이 확인. 지난 7/21일 산업은행을 통한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 방안”이 통과되었으며, 산업은행의 법정자본금을 30조원에서 45조원으로 확대하는 개정안 또한 통과
•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 방안을 살펴보면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 인공지능, 로봇 등의 산업이 포함. AI 기술은 특정 산업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산업에 포진해 있다는 점과 첨단산업이라는 범주 내 다양한 업종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경기 부양책 중 하나인 “ABCDEF 첨단기업 육성” 정책에 포함된 산업을 참고
• 각 알파벳이 의미하는 산업(AI(A), 바이오(B), 콘텐츠(C), 방위산업(D), 에너지(E), 제조업(F))은 첨단전략산업 기금에 명시된 산업과 중복되는 산업이 다수

첨단전략산업기금 100조원은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신정부의 강력한 의지표명으로 보이며 향후 증시 5K 달성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문재인 정부의 “한국판 뉴딜“

• 이재명 정부의 첨단산업 국민펀드 조성 정책은 과거 관제 펀드 정책 중 문재인 정부의 “한국판 뉴딜“ 정책과 유사. ‘20년 4월 한국판 뉴딜 정책이 최초로 언급되었으며 같은 해 9월 160조원 규모의 펀드 조성 방안이 발표
• 이후 민간투자 참여 활성화를 위한 한국거래소의 “KRX BBIG K-뉴딜지수”가 개발되었으며 약 한 달 후 지수 추종 ETF가 상장. 배터리(B), 바이오(B), 인터넷(I), 게임(G) 산업 대표 종목 중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으로 구성된 4개의 지수가 개발되었으며 각 지수별 시가총액 상위 3개 종목으로 구성된 BBIG 통합 지수가 개발
• 현재 첨단산업 국민펀드 정책은 펀드 조성 방안 확정 단계까지 진행되었으며, 민간의 투자 참여 활성화를 위해 한국거래소의 지수 개발 및 ETF가 상장될 개연성이 높다고 판단

일단 문재인 정권의 뉴딜정책과 유사한 측면이 있는 만큼 지수개발/ETF 상장의 트랙을 따라갈 것으로 보입니다.

BBIG 지수에 대한 이슈

• BBIG 지수는 소수의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 집중된 만큼 변동성 측면에서의 문제점이 부각. ’20년 코로나 위기 이후 진행된 유동성 공급 확대는 ’21년 초 인플레이션 우려로 나타나며 투자 심리가 위축. 이에 따른 모멘텀 둔화 국면 BBIG 지수는 높은 변동성을 시현하며 KOSPI 지수를 언더퍼폼
• ETF가 상장된 ’20년 10월 이후 연간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KOSPI와 KOSPI200 지수보다 높게 형성되며 장기간 높은 변동성이 나타나고 있는 모습
• 장기 성과 측면에서도 부진한 흐름이 확인. ETF 상장 이후 현재까지의 성과를 살펴보면 KOSPI +41.1%, KOSPI200 +39.8% 상승한 반면 BBIG 지수는 -23.3%를 기록

현재까지 나타난 BBIG 지수의 성과는 실패로 귀결된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 원인은 대외 환경 뿐 아니라 지수 자체의 종목쏠림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ABCDEF 지수 방법론

• BBIG 지수의 프레임을 참고, 문제점을 보안하여 “ABCDEF 지수”를 개발. 1차적으로 1) KOSPI 및 KOSDAQ 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GICS 산업분류 내 ABCDEF에 해당하는 종목을 구분하였으며, 2) 3개월 일평균시가총액 5,000억원 이상, 3개월 일평균거래대금 상위 80% 기준 등 최소 시장규모기준과 유동성기준을 설정
• 이후 3) ABCDEF 각 산업별 시가총액 상위 15개 종목으로 편입 종목을 구성하였으며, 방위산업(D) 및 스마트 팩토리(F) 지수의 경우 종목 수 미달로 각 10개, 14개 종목으로 구성
• 마지막으로, 소수 종목에 편중되어 높은 변동성을 시현한 BBIG 지수의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해 ABCDEF 전 종목을 포함하는 90개 종목으로 ABCDEF 지수를 구성하였으며 편입 비중 5% Cap을 적용(90개 종목 미달일 경우 3) 과정에서 탈락한 종목 중 시가총액 상위 종목을 추가 편입)

ABDCEF 지수 방법론을 보면 시장규모, 유동성 2가지 기준으로 상위종목을 선정, 5% 종목 Cap을 적용하여 운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ABCDEF 지수 구성종목

ABCDEF 지수 구성 및 추이

• ABCDEF 지수는 총 90 종목 중 KOSPI 53 종목, KOSDAQ 37 종목으로 구성되며 BBIG(KOSPI 11종목, KOSDAQ 1종목), 코리아 밸류업(KOSPI 79종목, KOSDAQ 21종목) 자수 대비 KOSDAQ 종목 비중이 높은 특징.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편입되어 A(AI, 반도체) 산업에 집중된 시가총액 비중(45.4%)은 5% Cap 적용에 따라 편입 비중이 14.8%로 낮아지며 그 외 섹터로 비중 분산
• 또한, 올해 누적수익률 50.8%를 기록하며 KOSPI, BBIG, 코리아 밸류업 지수를 아웃퍼폼. 샤프 비율(29.6) 또한 타 지수 대비 높게 형성되며 변동성 대비 수익률 측면에서도 견조한 성과를 기록

일단 샤프비율이 가장 높게 측면된 면이 고무적이고 변동성 대비 수익률 측면에서 비교지수 대비 가장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무분별한 패시브 수급 효과 기대감은 경계

• BBIG ETF 상장 당시 수급 흐름을 참고해보면 첫 6개월간 순매수가 집중되었으며 ’20년 4월 약 1.2조원을 기록. 개인이 약 8,240억원 순매수를 기록하며 전체 금액 중 약 70%를 차지. 현재 고객예탁금 수준은 약 64.8조원(’20년 4월 평균 65.6조원)으로 높은 비중의 개인 수급이 유입될 가능성 존재
• 당시 BBIG 지수에 포함된 40 종목의 6개월 일평균거래대금은 약 3.8조원. 해당 기간 누적된 ETF 순매수 자금(1.2조원)이 일평균거래대금의 1/3 수준이라는 점에서 ETF 수급 효과는 뚜렷하지 못했던 것으로 평가. ABCDEF 지수에 1.2조원 순유입을 가정하더라도 최대 편입 비중 5%를 감안하면 개별 종목 최대 600억원이며 유의미한 수준의 패시브 수급 효과를 기대하긴 어려울 것으로 전망

과거에는 수급에 대한 기대감이 가장 컸었으나 더이상 수급으로 지수를 움직이는 것은 무모한 시도라는 것이 일반적 관점이며 향후 관련 지수내 섹터의 실적개선 움직임을 중점적으로 봐야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성장

• 수급 측면에서의 패시브 효과는 불분명하지만, 산업 성장을 위한 정부 정책적 지원이 구체화될 것이라는 점에서 모멘텀 지속 기대. ’20년 뉴딜 정책이 최초로 언급되고 구체안이 확정되는 과정에서 해당 산업의 모멘텀이 지속. BBIG 지수에 포함된 40종목의 KOSPI 대비 시가총액 비중은 ’20년 초 약 15.0% 수준에서 26.9%까지 확대
• 다만, 모멘텀 위축 국면 종목별 성장세에 따른 성과 차별화가 확인. 1) 모멘텀 확대 국면 뚜렷한 변별력이 나타나지 않았던 리비전 스코어(연간 및 분기 영업이익 추정치 변화) 상위 종목군의 성과는 2) 모멘텀 둔화 국면 상대성과가 확대되는 모습. 산업 전반의 모멘텀이 둔화되는 상황속에서도 성장세가 이어지는 종목의 모멘텀은 지속된 것으로 해석

역시 위에서 언급드린 바와같이 중요한 측면은 꺾이지 않는 성장이 지속되느냐 여부가 될 것 같습니다. 뉴딜 형식의 펀드는 이러한 성장의 밑바탕에서 마중물 및 촉매 역할을 하는 것에 의미를 두어야 할 것 같습니다.

내일도 관련한 리뷰를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활기찬 하루들 되시기 바랍니다.~

Sort:  

와, @seraphim502님! 정말 심도 깊은 주식시장 전망 분석글 잘 읽었습니다! 👍 이재명 정부의 "첨단산업 국민펀드"를 문재인 정부의 "한국판 뉴딜"과 비교 분석하며 BBIG 지수의 한계를 지적하고, ABCDEF 지수 방법론을 제시하는 부분에서 깊은 통찰력을 느꼈습니다.

특히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성장"이라는 결론은 투자에 있어 핵심적인 메시지를 전달해주는 것 같습니다. 단순한 수급 기대감보다는 펀더멘털 성장에 주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신 부분이 인상적이네요.

ABCDEF 지수의 구성 종목과 추이를 보여주신 점도 투자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앞으로의 리뷰도 정말 기대됩니다! 혹시 ABCDEF 지수에 포함된 종목들의 개별 분석도 다뤄주실 계획이 있으신가요? 🤔 앞으로도 좋은 분석 기대하겠습니다!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5.20796945820965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