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908] ETF 상장 트렌드

[ETF Farming] New ETF, 단일종목 파생형 급증·액티브 재부상 (25년 8월)

✓미국 8월 신규 ETF는 단일종목 파생형과 집중 투자형 액티브 중심으로 상장 확대
✓단일종목 파생형 ETF는 빅테크·AI 중심으로 확대되며 단기 성과 지향적 성격이 두드러짐
✓액티브 ETF는 패시브 기반 전략과 고확신 집중 투자 전략으로 이원화

최근 상장된 ETF들의 트렌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크게 두가지 흐름을 보면 단일종목 파생형 급증과 액티브 ETF들의 재부상이 되겠습니다.
단일종목 파생형의 경우 빅테크와 AI 중심으로 확대되며 단기성과를 지향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반면, 액티브 ETF의 경우 패시브 기반 전략은 공고히 하되 고확신 종목들에 대한 집중투자 전략으로 이원화해 나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단기 성과 지향적 투자가 이어지는 형국

단일종목 파생형(레버리지·인버스) ETF가 핵심 축으로 부상하면서 단기 성과를 지향하는 투자자들의 수요를 보여준다. 단일종목 파생형 ETF는 2022년 7월 최초 상장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해 왔으며, 지난 8월의 경우 순수 파생형 16개와 레버리지에 커버드콜 전략을 가미한 하이브리드형 10개까지 포함해 전체 신규 상장 개수 대비 36.6%를 차지했다. 기초자산은 테슬라와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빅테크·반도체·AI 관련 기업이 주류이며, 디지털 자산(마이크로스트래티지, 코인베이스)이나 이슈 종목(게임스탑, 몽고DB 등) 등으로 확장

단일종목 파생형의 경우 엔비디아/테슬라 등 빅테크/반도체/AI 관련 기업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기타 디지털자산 및 이슈 종목 위주로 투자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원화된 액티브 ETF 확장세

또 다른 주류는 액티브 ETF로 볼 수 있으며, 2가지 방향으로 성장 중이다. 우선, 패시브 플랫폼 기반에 액티브를 얹는 형태가 주목된다. 테마·채권·단일종목·멀티에셋 등 기초자산 추종과 더불어 선물·옵션을 활용하여 시장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다양한 액티브 전략이 구현되고 있으며, 이는 금리/경기 국면 변화기에서 알파 추구 수요가 확대되기 때문이다. 다음은 정량 모델과 정성 분석을 결합해 소수 종목에 집중하는 고확신(High-Conviction) 전략이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은 기존 운용 뮤추얼 펀드 전략을 그대로 따르는 방식 혹은 Scharf ETF와 같은 전환 상장으로 이행되며, 생존 경쟁의 결과로도 해석된다.

반면 액티브 ETF의 경우 패시브 전략과 고확신 전략의 이원화 전략으로 양분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ETF 시장의 흐름을 알고 그러한 흐름에 맞춰 자신의 투자전략을 수립해 보는 것도 좋은 투자전략 방향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Sort: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5.63803270789787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