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923] 중국 AI 투자노트#2

글로벌 인공지능(AI) 산업의 폭발적 성장과 중국의 가파른 추격

Frost & Sullivan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AI 시장 규모는 6,157억달러(약 862조원)로, 2030년까지 연평균 27.4% 성장해 2.64조달러(약 3,694조원)에 이를 전망. 이 중 중국 시장은 약 7,000억위안(133조원)으로 전체의 15.4%를 차지해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규모를 기록

2024년 중국의 초거대 AI 모델 시장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50.3% 늘어난 2,210억위안(약 4.2조원)을 기록했다. 2029년까지 연 평균 44.9% 성장해 1.4조위안(약 26.8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

DeepSeek의 등장은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됨. 효율적인 모델
아키텍처와 분산 훈련 기술을 통해 훈련 비용을 크게 낮추는 동시에, 초당 60TPS 수준의 높은 추론 성능과 저전력 특성을 구현했기 때문이다. 이는 중국 AI 모델이 ‘저비용·고효율’이라는 차별적 강점을 바탕으로 기존 AI 질서를 흔든 핵심 배경

글로벌 AI 시장규모의 연간 성장률은 27.4%, 중국 대규모 AI 모델 시장규모의 연간 성장률은 44.9%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글로벌 AI 패권전쟁: 미국 독주에서 중국이 가세한 양강 구도로 진입

주지하다시피 글로벌 AI 경쟁 구도는 미국이 압도적 지위를 점하고 있으며, 중국은 이를 추격할 수 있는 유일한 국가로 평가된다. 프랑스·캐나다·영국·싱가포르·한국 등은 기술·산업·인재 측면에서 경쟁하는 ‘3위 그룹’에 속한다. 그러나 최근 리더보드(LMSYS Chatbot Arena) 스코어링 추세를 보면 중국의 약진이 뚜렷

2025년 8월 기준 국가별 최고 점수는 미국이 1,470pt, 중국이 1,427pt로 불과 43pt 차이에 불과. 평균 점수 역시 중국이 1,373pt으로 미국(1,393pt)과의 간극을 20pt 내외로 좁혔음
모델별로는 OpenAI(ChatGPT), Anthropic(Claude), Google(Gemini)가 여전히 최상위권을 유지하지만, 중국의 DeepSeek(V3), Alibaba(Qwen) 등이 빠르게 상위권에 진입하며 경쟁 구도를 바꾸고 있다. 특히 DeepSeek은 2025년 들어 글로벌 톱3 모델군에 근접한 성과를 여러 차례 기록하며 “중국판ChatGPT”라는 평가를 받았고, 기업 차원에서도 Alibaba, Tencent, Zhipu 등이 가세하며 글로벌 AI 시장은 미국과 중국의 양강 체제로 재편되고 있음

전체적으로 보면 미중간 AI 모델 평균 스코어가 유사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최상위 AI 모델에 있어 중국의 알리바바, 딥시크 등의 모델들이 미국의 최상위 모델들 스코어를 유사하게 따라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내일도 관련한 리뷰를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