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926] 중국 AI 투자노트#5
AI 밸류체인 투자전략: 초기 인프라, 중기 빅테크, 후기 B2C 응용
AI 밸류체인의 정확한 이해는 투자 기회를 식별하는 출발점이다. AI의 발전은 연산자원 확보 → AI모델 고도화 → 응용 확산이라는 단계적 사이클을 거쳐 진행. 이에 따라 기업들의 수익화 시점도 달라지기에 밸류체인 구분은 성장 모멘텀의 시차를 읽어내는 중요한 단서로 작용. 중국 AI 밸류체인은 크게 1) AI 반도체/인프라, 2) AI 모델·클라우드, 3) AI 디바이스/응용으로 구분
AI 특히 중국 AI의 밸류체인을 크게 AI 반도체/인프라, AI모델&클라우드, AI 디바이스/응용 3개 섹터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1.Upstream: AI 반도체/인프라
중국은 엔비디아의 GPU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NPU를 전략적으로 육성
NPU는 본래 신경망 연산에 특화돼 추론 단계에서 전력 효율성과 지연시간 단축에 강점
최근 화웨이 Ascend와 캠브리콘(688256.SH)의 MLU 시리즈처럼 AI서버용 NPU가 등장하면서, 추론뿐 아니라 학습 영역까지 적용 범위를 넓히려는 시도가 확산
NPU의 사용 범위가 추론 영역에서 벗어나 학습영역까지 확장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알리바바(9988.HK) 역시 자체 AI 칩 개발에 나서며 이 흐름에 합류했다. 최근에는 7나노 공정의 차세대 추론 칩(NPU)을 개발하며 데이터센터용 AI 연산 효율을 강화
AI 서버는 모델 학습과 추론이 실제로 수행되는 공간으로, 대규모 연산 실행과 데이터 저장·관리를 담당
서버 내부에서는 GPU·CPU·메모리 간 신호를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PCB가 필수다. 동산 정밀(002384.SZ)과 선난써키트(002916.SZ)는 멀티레이어 고속 인쇄회로기판을 공급하며, AI 서버 증설에 따른 직접적 수혜주
AI 인프라에 있어서도 중국은 NPU, 서버, PCB 등 다양한 생태계 구축에 성공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서버와 서버를 연결하는 광통신·광모듈도 핵심이다. 중지쉬창(300308.SZ)과 광신과기(002281.SZ)는 데이터센터 내 고대역폭 전송을 담당하며, 글로벌 하이퍼스케일러(초대형 클라우드 사업자)의 데이터센터 증설 수요에 따라 성장성이 크게 부각
잉웨이커(002837.SZ)는 액체냉각을 비롯한 열관리 통합 시스템을
제공해 AI 데이터센터 효율성을 좌우하는 필수 장비 공급사로 자리매김
2.Midstream: AI 모델/클라우드
AI 밸류체인 Midstream의 핵심은 LLM(대규모 언어모델) 같은 AI 모델과 클라우드다. 가장 핵심적인 기업은 바로 알리바바(9988.HK)다. 우선 LLM 분야에서 Qwen(通义千问)은 딥시크와 함께 중국 내 가장 경쟁력 있는 LLM으로 평가
알리바바는 ModelScope라는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운영하며 수천 개의 사전학습 모델과 데이터셋을 제공
메타의 Llama가 대표주자로 꼽히지만, 현업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알리바바의 오픈소스 역량이 이를 앞선다는 평가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중국 시장 점유율 36%로 1위 사업자다. AI 학습과 추론에 필요한 GPU·NPU 같은 대규모 연산 자원을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로 제공한다.
여기에 AI 모델 Qwen과 오픈소스 ModelScope가 결합하면서 클라우드·모델·개발자 생태계가 긴밀히 연결
LLM 모델에 있어서도 알리바바와 같은 기업이 LLM모델,클라우드 인프라 역량을 결합하여 중국내 뿐 아니라 기술적 측면에 있어서도 글로벌 유수 플랫폼 기업들과 뒤치지 않는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Downstream: AI 응용·디바이스
AI 경쟁의 최종 단계는 결국 상용화(commercialization)다. 중국 정부가 추진 중인 ‘AI+ 이니셔티브’도 이러한 방향성을 반영한다. 내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AI+ 정책은 단순한 인프라 구축을 넘어 제조·소비·의료·금융 등 전 산업에 AI를 적용해 생산성 향상을 가속화하는 데 목표
2027년까지는 과학기술·산업·소비·민생·공공·국제화 등 6대 분야와의 융합을 추진하고, AI 디바이스와 Agent의 보급률을 70% 수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2030년에는 보급률을 90% 이상으로 끌어올려 AI를 산업과 사회 전반의 범용 인프라로 정착시키겠다는 구상
역시 국가 주도의 산업육성 전략의 모습은 주도면밀하고 체계적인 로드맵 기반하에 효율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30년까지 AI 디바이스, Agent 보급률을 90%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을 수립중에 있습니다.
1)‘AI+제조’: 휴머노이드 로봇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상용화 단계에 진입
중국은 최근 5년간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특허의 2/3를 차지하고, 2024년 글로벌 펀딩의 80%를 주도하며 세계 최대 투자처로 부상
산업 생태계도 빠르게 두터워지고 있어, 감속기·서보모터 등 주요 부품의 국산화율은 이미 70%에 육박
2)‘AI+소비’는 스마트폰, 가전, 웨어러블 등 AIoT 기기 연결을 통해 생활 전반의 디지털화를 가속화
샤오미(1810.HK)는 9억 대 이상 기기에서 축적된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스마트홈·헬스케어 서비스를 고도화하며, 단순 하드웨어 기
업을 넘어 AI 디바이스·플랫폼 기업으로 진화
3)‘AI+교통’은 자율주행 전기차와 도심항공교통(UAM·드론)으로 대표
샤오펑(9868.HK)은 2024년 AI DAY에서 세계 최초의 LLM 기반 차량 OS를 발표하고 전 차종에 적용했다. 이를 통해 레벨4 자율주행 상용화를 향한 기술 진전을 구체화했으며, 대규모 주행 데이터 축적을 기반으로 서비스 확장을 추진
4)‘AI+의료’의 핵심은 AI를 활용한 신약개발, 의료영상 판독, 원격진료 등
정태과기(2228.HK)는 AI·물리계산·로봇 자동화를 결합한 플랫폼으로 신약 탐색 기간을 단축했다. 최근 상업화 계약을 확대하며 글로벌 제약사와 협력 범위도 넓히고 있다. 알리바바 산하의 알리헬스케어(0241.HK)는 방대한 의료데이터와 플랫폼을 기반으로 AI 알고리즘을 접목해 원격진료를 고도화
5)‘AI+금융’은 리스크 관리, 투자, 자산관리(WM) 등 전반에 AI를 접목해 효율성과 맞춤형 서비스
항셍전자(600570.SH)는 금융기관에 AI 기반 리스크관리·투자 분석·운영 자동화 솔루션을 공급한다. 동화순(300033.SZ)은 자체
금융 특화 AI 모델을 통해 B2C AI 리서치·투자 자문 서비스를 확대
6)‘AI+소프트웨어’는 기업 업무 전반을 AI 기반 지능형 솔루션으로 전환
킹소프트(3896.HK)는 AI로 문서 작성·번역·요약을 자동화하고, 용우네트워크(600588.SH)는 ERP·CRM에 AI 모델을 적용해 운영 효율화를 강화
자세한 밸류체인 현황은 위 도표를 활용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5회에 걸쳐 살펴본 바와같이 중국 AI 산업은 강력한 국가 주도의 정책지원 하에 다양한 섹터(인프라/AI모델/응용분야)에 걸쳐 산업생태계를 구축하고 각 분야의 대표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체계적 목표를 가지고 발전해 나가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직, 그러한 전체 생태계 완성의 밑그림이 그려지고 경쟁력이 갖추어지고 있는 초기 단계라 투자관점에 있어서는 더욱 많은 관심과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는 분야라는 판단입니다.
와, @seraphim502님! This is an incredibly insightful breakdown of the AI value chain in China! Your clear categorization into upstream (AI chips/infrastructure), midstream (AI models/cloud), and downstream (AI applications/devices) makes it so easy to grasp the complexities.
I especially appreciate the deep dive into specific companies like Alibaba and their advancements in LLMs and open-source initiatives. Highlighting the government's "AI+ initiative" and its ambitious goals is crucial for understanding the long-term vision.
The graphic illustrating the value chain is super helpful too! Your conclusion about the early stage of ecosystem development and the need for careful attention is spot on. This is a must-read for anyone interested in AI investment strategies, especially within the Chinese market. Thanks for sharing your expertise!
What are your thoughts on the potential impact of US sanctions on China's access to advanced AI chips? I'm curious to hear your perspective!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5.63803067573449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