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1022] 암호화폐 ETF 투자백서 A to Z#20
스테이블코인 밸류체인과 정책 환경
해외 스테이블코인 규제 환경 변화와 산업 생태계 분석: 미국
약세 시나리오에서는 크립토 매매 외 여전히 별다른 사용처를 찾지 못해 0.9조 달러까지 성장하는 것에 그치고, 강세 시나리오에서는 국제 단기 유동성과 역외 달러채와 예금 재배치까지 영향을 미쳐 4.0조 달러까지 성장
해외 스테이블코인 규제 환경과 산업 생태계 분석: 아시아 지역
일본 금융청은 엔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사업자인 JPYC를 인가할 예정이며, 동사는 향후 3년간 1조엔 규모 발행을 목표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지식재산권 등 디지털 생태계에서 강점을 갖고 있는 일본에서 스테이블코인 확산은 단순 결제 수단을 넘어서 블록체인 기술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플랫폼 혁신 기회를 제공할 전망
스테이블코인 밸류체인과 정책 환경
해외 스테이블코인 규제 환경 변화와 산업 생태계 분석: 미국
미국에는 스테이블코인과 가상자산 규제 완화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 트럼프 정부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는 금지했는데, 스테이블코인으로 달러 지배력을 유지하겠다는 입장
스테이블코인 법안(GENIUS Act)이 통과되면서 달러 스테이블코인이 결제 인프라 자산이 됐다. 2028년 7월부터는 디지털자산서비스제공자(DASP)가 허가 발행사(PPSI)가 발행한 스테이블코인만을 취급하게 된다.
2030년 스테이블코인 시장 성장 전망치
Citi는 2025년 9월 25일 발간한 “Stablecoins 2030:Web3 to Wall Street” 보고서에서 2030년 스테이블코인 시장 규모를 추정했다. 1.9조 달러 수준으로 전망한 베이스 시나리오 규모는 상반기 SC 은행에서 추정한 것과 유사한 숫자다. 약세 시나리오에서는 크립토 매매 외 여전히 별다른 사용처를 찾지 못해 0.9조 달러까지 성장하는 것에 그치고, 강세 시나리오에서는 국제 단기 유동성과 역외 달러채와 예금 재배치까지 영향을 미쳐 4.0조 달러까지 성장
1)결제망 통합, 2)새롭게 등장하는 Layer 1 체인, 3)은행이 발행
하는 토큰, 4)시장 인프라, 5)실물자산토큰(RWA)의 성장 가속화
스테이블 코인시장의 성장세는 결제망 통합/L1 체인들의 범람/은행발행 토큰/시장인프라 성장 가속화/RWA 시장 성장 등의 요인으로 빠르게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내일은 스테이블 코인 밸류체인 중 미국기업들에 대한 리뷰를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8.071432047612824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