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RE: [투자의 단상/250615] 손익비 개념

저도 이것은 순수하게 이론적 개념으로만 접근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실전에서 이러한 개념을 활용할 때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상당히 효용성이 있음을 느끼게 되는 것 같습니다.
승률의 개념도 재미있는게 기본적으로는 손익비에 따르는 결과로 여겨질 수 있으나, 거꾸로 바로 직전 투자의 승률을 가지고 손익비를 따져 볼 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 즉 직전 승률이 좋으면 다음 투자의 손익비를 좀더 유연하게 가져갈 수 있는 융통성있는 투자를 할 수도 있겠죠.
그리고 손절가격 또한 비슷하게 적용하면 직전 투자의 승률에 따라 손절라인을 달리 가져가는 다양한 방법론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목표가격 또한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결합하여 지극히 주관적이고 감각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맞지만 기본적으로 투자대상을 upside가 크게 열려있는 종목/자산을 가지고 투자하게 된다면 이것또한 상대적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도 같습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