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54] 연간 산재 사고 3명 넘는 사업장은 영업이익 5% 과징금 부과 및 산재 사망 수에 따라 영업정지 기간도 늘어난다.
올해(25년) 9월 15일, 고용노동부는 '노동안전 종합 대책'을 발표를 했습니다.
그 안의 내용을 차례대로 알아보겠습니다.
- 연간 산재 사고 3명이 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영업이익의 최대 5%에 해당하는 금액 또는 30억 원 중에서 더 많은 금액이 과징금으로 부과가 됩니다.
예를 들면...
연간 5000억 원~ 2조 원 사이 영업이익을 내는 대형 건설사에서 연간 3명 이상 사망 사고가 발생하면 최대 250억 원~ 1000억 원을 과징금으로 내야 한다는 겁니다.
(영업이익이 많은 건설사일수록 엄청난 손실이 발생한다는 거겠죠~)
그리고
사망자 수와 발생 횟수에 따라 과징금을 차등 부과되고,
과징금 심사위원회가 신설이 되면서 부과된 과징금은 산재 예방에 재투자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또한,
- 산재 사망 사고로 반복적으로 영업 정지 대상이 된 건설사에 대해서는 인허가 취소 요청 규정 신설도 추진이 되고,
사망자 수에 따라 현행 2~5개월로 된 영업정지 기간도 늘어날 예정입니다.
(내가 분양받은 아파트가 해당된다면...
공사 기간은 기존보다 더 늘어난다고 보면 됩니다.)
그리고
최근 3년간 영업정지 처분을 2차례 받은 기업에 대해서는 등록말소 요청 대상이 되고,
등록말소 처분이 된 건설사는 신규 사업, 수주, 하도급 등 모든 영업 활동이 중단이 됩니다.
또한,
- 노동자 사망으로 영업 정지된 건설사의 경우 선분양을 제한하고,
제한 기간이나 분양 시점 기준도 강화될 예정이라고 하네요.
.
.
그렇다면...
건설사들은 연간 사망자 3명 이상 나면 손실이 아주 크기 때문에...
정말 좋은 위치가 아니라면...
건설을 당분간 안 하거나...
건설을 하더라도 3년의 공사 기간이 2배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을 테고...
늘어난 공사 기간만큼 분양가는 더 상승할 겁니다.
현재 서울에 집을 가지고 있는 분들은 정부 정책과 공급 부족 현상으로 큰 혜택을 볼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그리고
서울, 경기도의 경우는 내년부터 3년간 기존 공급보다 반토막이 나서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알고 있어서 서울, 경기도의 아파트 가격은 더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생각이 듭니다.
- (지방은 인구 유출이 있어서...
어느 정도 인구가 있는 쪽은 선호하는 지역에 따라 부동산 양극화 현상이 벌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
.
흠...
현재의 정부는 너무 노동자 위주의 정책들이 쏟아지고 있어서...
안 보이는 사다리 걷어차기 2탄이 시작된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후 아~~
내년이라도 알트 코인 불장 왔으면 좋겠네요 @.@
집 사고 싶네요ㅎㅎ
다들 각자 도생 잘하시길 바랍니다.
- [부동산 #1] 경매, 공매로 넘어간 집, 2023년부터 임차인(세입자)의 보증금 피해 최소화하는 방안 발표!!!
[부동산 #2] 감정평가서 부풀린 '전세 사기' 급증!!!
[부동산 #3] 서울, 경기도 최근 3년 실거래가 신고 위반 1만 6천 건 발생~
[부동산 #6] 신종 월세 사기 조심해야 합니다!!!
[부동산 #7] 법원에서 '깡통전세' 중개는 부동산 중개인에게 60% 책임 판결
- [부동산 #8] 정부는 역전세 대란을 막기 위해 대출 규제를 1년간 한시적으로 완화한다~
[부동산 #10]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로 인한 가계 부채 증가
[부동산 #12] 주택연금 가입기준 9억 원 이하에서 12억 원 이하로 확대된다.
[부동산 #13] 주택담보대출, 전세 대출도 올해 연말 또는 2024년 1월부터 온라인으로 갈아타기 가능
[부동산 #14] 부동산 공제 증서 계약 건벌로, 바꾸면 안 되는 건가?!
- [부동산 #17] 전세사기 불안감으로 인한 아파트 전세 쏠림 현상
[부동산 #19] 올해(2024년)부터 대출 상품은 스트레스 DSR 제도 적용된다.
[부동산 #20] 신축 비아파트(오피스텔, 빌라) 2년간 주택 수 제외된다!!!
[부동산 #23] 분양가 상한제 실거주 의무 3년 유예~
[부동산 #24] 아파트 미분양 물량 중에서 9천만 원 할인 분양이 나와서 입주민이 화나다
- [부동산 #26] 1주택 종합부동산세 폐지에 대한 민주당 내부 온도차가 다르다!!!
[부동산 #27] 올해(24년) 7월부터 전세사기 예방을 위해 강화된 부동산 중개사 업무 시행
[부동산 #28] 올해(24년) 10월부터 5대 은행에서 전입세대 확인이 가능해진다!!!
[부동산 #30] 전세사기특별법 여야 합의 처리... 전세 사기 피해자에게 공공임대주택 최장 20년 제공
[부동산 #32] 올해(24년) 12월부터 공시가격 수도권 5억 원, 지방 3억 원 이하 빌라 1채는 청약때 무주택으로 인정된다!!!
- [부동산 #33] 중국 시멘트 업체, 건설 공사비 낮추는 국내 시멘트 시장 진입을 노린다.
[부동산 #34] 우미건설, 두산건설은 층간 소음 저감 바닥구조 공동 개발을 하다.
[부동산 #35] 25년(내년) 6월부터 30년 된 아파트는 재건축 안전진단 패스
[부동산 #36] 무한 갱신 청구 임대차 보호법을 몰래 발의하려고 하다가 철회하다!!!
[부동산 #37] 올해(25년) 7월부터 전세 대출 보증도 소득, 기존 대출 따져 축소한다!!!
- [부동산 #38] 외국인 집주인이 전세 사고 내면 바로 강제 경매된다!!!
[부동산 #39] 올해(25년), 1억 미만 가계 대출도 은행 소득 심사 받도록 바뀐다.
[부동산 #40]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안 2년 더 연장 (27.05.31까지~)
[부동산 #41] 대출 대신 "지분 투자 담보 대출" 과연 시행 될까??
[부동산 #42] 올해(25년) 5월 27일부터 전세 계약 체결 전에 임대인 정보 조회 가능해진다.
- [부동산 #43] 롯데건설, 능동형 층간소음 저감장치 기술 개발
[부동산 #44] 노후계획도시 정비 사업때 전자 투표 허용
[부동산 #45] 올해(25년) 6월 28일,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 소득 상관 없이 6억 원 이하 대출
[부동산 #46] 올해(25년) 6월 27일 규제 이후 전세에서 월세화(반전세)를 가속시킬 것이다
[부동산 #47] 주택연금 개편 추진 중... 월 수령액 조금 늘어날 듯..
- [부동산 #48] 주 4.5일제 도입과 노란봉투법 시행 시에는 아파트 분양가 더 올라갈 수 있다
[부동산 #49] 2년간 실거주 하지 않는 외국인, 수도권 주택 못 산다!!!
[부동산 #50] 주택 연금이란 무엇이고, 주택 연금은 주택 담보 월 대출이면서 복리 이자가 숨어있다
[부동산 #51] 전세보증금 90%에서 70% 강화되면... 월세화는 더 가속화된다
[부동산 #52] 25년 9월 7일 부동산 대책 발표 및 주택 공급 계획의 135만 호에 대해 생각해 보자
첫 법원 경매 방문 후기 (1부) / (2부) 22.09.20
1)부동산 권리분석과 명도소송실무 강의를 듣다~
2)부동산 경매, 공매 3주 차 수업~
3)부동산 경매, 공매 5주간 수업 마무리~
4)부동산 등기 수업~
5)부동산 등기 실무 마지막 수업~
25.09.18
.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저 개인적으로는 어느정도는 필요한거 같다는 생각은 듭니다.
건물이 고층화 되면서 위험한 부분들이 늘어나는데 안전부분은 미흡한 부분도 있긴 하거든요
단지 점점 기술이 발달하면 이제 저런것도 할 기계가 등장할지는 모를입니다.
처벌수준이 좀 매서운거 같은데... 건설회사측도 안정부분은 더 강화하겠지요...
요번 통신사들 보안수준이 처참했던거 처럼... 생각보다 건설회사들도 굉장히 행복한 생각을 가지고 있거든요... 괜찮겠지... 지금 당장은 문제없겠지 라는..
그리고
건설사가 모듈러 주택이나 모듈러 아파트를 선호할 수도 있다는 생각도 문득 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