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54] 연간 산재 사고 3명 넘는 사업장은 영업이익 5% 과징금 부과 및 산재 사망 수에 따라 영업정지 기간도 늘어난다.steemCreated with Sketch.


연간 산재 사고 3명 넘는 사업장은 영업이익 5 과징금 내고, 산재 사망수에 따라 영업정지 기간도 늘어난다..jpg


올해(25년) 9월 15일, 고용노동부는 '노동안전 종합 대책'을 발표를 했습니다.


그 안의 내용을 차례대로 알아보겠습니다.

  • 연간 산재 사고 3명이 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영업이익의 최대 5%에 해당하는 금액 또는 30억 원 중에서 더 많은 금액이 과징금으로 부과가 됩니다.





예를 들면...

연간 5000억 원~ 2조 원 사이 영업이익을 내는 대형 건설사에서 연간 3명 이상 사망 사고가 발생하면 최대 250억 원~ 1000억 원을 과징금으로 내야 한다는 겁니다.

(영업이익이 많은 건설사일수록 엄청난 손실이 발생한다는 거겠죠~)




그리고

사망자 수와 발생 횟수에 따라 과징금을 차등 부과되고,
과징금 심사위원회가 신설이 되면서 부과된 과징금은 산재 예방에 재투자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또한,

  • 산재 사망 사고로 반복적으로 영업 정지 대상이 된 건설사에 대해서는 인허가 취소 요청 규정 신설도 추진이 되고,
    사망자 수에 따라 현행 2~5개월로 된 영업정지 기간도 늘어날 예정입니다.

(내가 분양받은 아파트가 해당된다면...
공사 기간은 기존보다 더 늘어난다고 보면 됩니다.)




그리고

최근 3년간 영업정지 처분을 2차례 받은 기업에 대해서는 등록말소 요청 대상이 되고,

등록말소 처분이 된 건설사는 신규 사업, 수주, 하도급 등 모든 영업 활동이 중단이 됩니다.




또한,

  • 노동자 사망으로 영업 정지된 건설사의 경우 선분양을 제한하고,
    제한 기간이나 분양 시점 기준도 강화될 예정이라고 하네요.



.
.

dreamina-2025-09-17-3515-건설현장, 30대 동양 남성이 다리를 다치는 산재 사고를 나타내줘.jpeg
[출처: dreamina AI]


그렇다면...
건설사들은 연간 사망자 3명 이상 나면 손실이 아주 크기 때문에...
정말 좋은 위치가 아니라면...
건설을 당분간 안 하거나...
건설을 하더라도 3년의 공사 기간이 2배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을 테고...
늘어난 공사 기간만큼 분양가는 더 상승할 겁니다.




현재 서울에 집을 가지고 있는 분들은 정부 정책과 공급 부족 현상으로 큰 혜택을 볼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그리고
서울, 경기도의 경우는 내년부터 3년간 기존 공급보다 반토막이 나서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알고 있어서 서울, 경기도의 아파트 가격은 더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생각이 듭니다.


  • (지방은 인구 유출이 있어서...
    어느 정도 인구가 있는 쪽은 선호하는 지역에 따라 부동산 양극화 현상이 벌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
.

흠...

현재의 정부는 너무 노동자 위주의 정책들이 쏟아지고 있어서...

안 보이는 사다리 걷어차기 2탄이 시작된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후 아~~
내년이라도 알트 코인 불장 왔으면 좋겠네요 @.@

집 사고 싶네요ㅎㅎ




다들 각자 도생 잘하시길 바랍니다.


















첫 법원 경매 방문 후기 (1부) / (2부) 22.09.20

1)부동산 권리분석과 명도소송실무 강의를 듣다~
2)부동산 경매, 공매 3주 차 수업~
3)부동산 경매, 공매 5주간 수업 마무리~

4)부동산 등기 수업~
5)부동산 등기 실무 마지막 수업~



25.09.18

.

Sort: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저 개인적으로는 어느정도는 필요한거 같다는 생각은 듭니다.

건물이 고층화 되면서 위험한 부분들이 늘어나는데 안전부분은 미흡한 부분도 있긴 하거든요

단지 점점 기술이 발달하면 이제 저런것도 할 기계가 등장할지는 모를입니다.

처벌수준이 좀 매서운거 같은데... 건설회사측도 안정부분은 더 강화하겠지요...

요번 통신사들 보안수준이 처참했던거 처럼... 생각보다 건설회사들도 굉장히 행복한 생각을 가지고 있거든요... 괜찮겠지... 지금 당장은 문제없겠지 라는..

이 부분에 대해서는 바라보는 시각이 다들 다를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건설사가 모듈러 주택이나 모듈러 아파트를 선호할 수도 있다는 생각도 문득 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