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56] 25.10.15 이재명 정부 3번째 부동산 정책 발표 및 보유세 카드는 내년(26년) 지방 선거 이후에 나올 수밖에...
이재명 정부의 3번째 부동산 정책 발표가 올해(25년) 10월 15일에 나왔습니다.
이번 정책을 보고...
무주택 실수요자는 서울 집 마련은 한층 더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이 나왔고...
공급 정책은 없고...
기존 정책에서 더 강한 규제 정책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 비아파트(오피스텔)은 규제 정책에서 빠졌다고 하니...
비아파트를 선호하는 분들은 대출을 잘 이용해서 자가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공급 정책이 지금 나올 수도 없긴 합니다.
그 이유는...
- 올해 착공해도 빨라야 3~4년 뒤에 입주가 가능하고...
연간 산재 사고 3명이 넘는 사업장에게는 영업이익 5% 과징금 부과와 산재 사망 수에 따라 영업 정지 기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아파트 공급은 기존보다 더딜 수밖에 없어서 이번 정부에서는 규제 정책으로 갈 수밖에 없어 보인다(?)
.
.
그리고
25년 9월 7일 부동산 대책 발표에서 서울, 수도권 135만 채 신규 착공을 2030년까지 발표를 했기 때문에...
공급 관련된 정책은 당분간 안 나올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고...
일부 부동산 전문가들은 몇 년에서 10년까지 서울, 경기도 지역의 공급 부족 현상으로 인해서 이번 정권에서는 규제 정책이 나올 것으로 예상을 했고...
그다음 정책은...
보유세(종부세, 재산세) 카드와 주택 공시가격 상향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보유세 카드는 민감한 부분이라서...
내년 6월 지방선거 이후에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기사로도 나오고 있네요.
(지방선거 승리하고 난 뒤에ㅎㅎ)
.
.
그렇다면...
보유세(종합부동산세, 재산세)와 주택 공시가격 상향이 나오면...
주택 매물이 나와야 하지만...
기존 양도세를 개편해서 더 낮추지 않는다면...
매물은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부분은 전 문재인 정권 때도 한 번 있었던 일인데...
조금 변형해서 나올지 한 번 지켜봐야겠죠 @.@
그리고
똘똘한 한 채 정책을 풀고...
대규모 서울, 경기도 공급 정책이 나오지 않는 한...
서울, 경기도 쏠림 현상은 계속 유지될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그리고
밑의 내용은 이번에 나온 규제 정책들입니다.
.
.
조정 대상 지역과 투기 과열 지구 (25년 10월 16일 시행)
- 서울 25개 자치구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 (과천, 광명, 수정, 분당, 중원, 의왕, 하남 등)
주담대 대출) LTV 무주택 40%, 유주택 0%, 대출한도 6억 원 이하
전세 대출) 1주택자 대출한도 2억 원, 전세 대출 보증 비율 80%
(조건부 전세 대출 금지)
신용대출(마이너스 통장 포함) 1억 원 초과한 자는 대출 실행일로부터 1년간 규제 지역 내 주택 구입 제한
규제 지역에 전세 대출이 있다면 3억 원 넘는 아파트 취득 불가
(갭투자 차단)
수도권, 규제 지역 스트레스 금리 하한 1.5% -> 3.0%로 상향
(25년 10월 16일 시행)
- 수도권, 규제 지역 주택 가격) 일반 차주, 생애 최초 구매자, 서민 실수요자 해당
대출 최대 한도 25년 10월 16일 시행)
15억 원 이하 주택 6억 원
15억~25억 원 이하 주택 4억 원
25억 원 초과 주택 2억 원
- 일반 차주)
주담대 대출 LTV 70% -> 40% 감소
DTI 60% (아파트) -> 조정대상지역(아파트) 50%, 투기과열지구 40%
대출 최대 한도)
15억 원 이하 주택 6억 원
15억~25억 원 이하 주택 4억 원
25억 원 초과 주택 2억 원
- 생애 최초 구매자)
LTV 70% 유지 / DTI 60% (아파트) 유지
대출 최대한도)
15억 원 이하 주택 6억 원
15억~25억 원 이하 주택 4억 원
25억 원 초과 주택 2억 원
- 서민, 실수요자) 부부합산 연 소득 9천만 원 이하, 주택가격 8억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LTV 70% -> 60% 감소 / DTI 60% (아파트) 유지
대출 최대한도)
15억 원 이하 주택 6억 원
15억~25억 원 이하 주택 4억 원
25억 원 초과 주택 2억 원
- 디딤돌 대출)
LTV 70% 유지 / DTI 60% 유지
최대한도 일반 2억 원, 생애 최초 2.4억 원, 신혼 3.2억 원, 신생아 4억 원 유지
- 보금자리론)
LTV (아파트) 70% -> 60% 감소
LTV (비아파트) 65% -> 55% 감소 (생애 최초, 실수요자는 유지)
DTI 60% -> 50% 감소 (생애 최초, 실수요자는 유지)
최대한도 일반 3.6억 원, 생애 최초 4.2억 원 유지
각자 도생 가즈아~
- [부동산 #1] 경매, 공매로 넘어간 집, 2023년부터 임차인(세입자)의 보증금 피해 최소화하는 방안 발표!!!
[부동산 #2] 감정평가서 부풀린 '전세 사기' 급증!!!
[부동산 #3] 서울, 경기도 최근 3년 실거래가 신고 위반 1만 6천 건 발생~
[부동산 #6] 신종 월세 사기 조심해야 합니다!!!
[부동산 #7] 법원에서 '깡통전세' 중개는 부동산 중개인에게 60% 책임 판결
- [부동산 #8] 정부는 역전세 대란을 막기 위해 대출 규제를 1년간 한시적으로 완화한다~
[부동산 #10]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로 인한 가계 부채 증가
[부동산 #12] 주택연금 가입기준 9억 원 이하에서 12억 원 이하로 확대된다.
[부동산 #13] 주택담보대출, 전세 대출도 올해 연말 또는 2024년 1월부터 온라인으로 갈아타기 가능
[부동산 #14] 부동산 공제 증서 계약 건벌로, 바꾸면 안 되는 건가?!
- [부동산 #17] 전세사기 불안감으로 인한 아파트 전세 쏠림 현상
[부동산 #19] 올해(2024년)부터 대출 상품은 스트레스 DSR 제도 적용된다.
[부동산 #20] 신축 비아파트(오피스텔, 빌라) 2년간 주택 수 제외된다!!!
[부동산 #23] 분양가 상한제 실거주 의무 3년 유예~
[부동산 #24] 아파트 미분양 물량 중에서 9천만 원 할인 분양이 나와서 입주민이 화나다
- [부동산 #26] 1주택 종합부동산세 폐지에 대한 민주당 내부 온도차가 다르다!!!
[부동산 #27] 올해(24년) 7월부터 전세사기 예방을 위해 강화된 부동산 중개사 업무 시행
[부동산 #28] 올해(24년) 10월부터 5대 은행에서 전입세대 확인이 가능해진다!!!
[부동산 #30] 전세사기특별법 여야 합의 처리... 전세 사기 피해자에게 공공임대주택 최장 20년 제공
[부동산 #32] 올해(24년) 12월부터 공시가격 수도권 5억 원, 지방 3억 원 이하 빌라 1채는 청약때 무주택으로 인정된다!!!
- [부동산 #33] 중국 시멘트 업체, 건설 공사비 낮추는 국내 시멘트 시장 진입을 노린다.
[부동산 #34] 우미건설, 두산건설은 층간 소음 저감 바닥구조 공동 개발을 하다.
[부동산 #35] 25년(내년) 6월부터 30년 된 아파트는 재건축 안전진단 패스
[부동산 #36] 무한 갱신 청구 임대차 보호법을 몰래 발의하려고 하다가 철회하다!!!
[부동산 #37] 올해(25년) 7월부터 전세 대출 보증도 소득, 기존 대출 따져 축소한다!!!
- [부동산 #38] 외국인 집주인이 전세 사고 내면 바로 강제 경매된다!!!
[부동산 #39] 올해(25년), 1억 미만 가계 대출도 은행 소득 심사 받도록 바뀐다.
[부동산 #40]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안 2년 더 연장 (27.05.31까지~)
[부동산 #41] 대출 대신 "지분 투자 담보 대출" 과연 시행 될까??
[부동산 #42] 올해(25년) 5월 27일부터 전세 계약 체결 전에 임대인 정보 조회 가능해진다.
- [부동산 #43] 롯데건설, 능동형 층간소음 저감장치 기술 개발
[부동산 #44] 노후계획도시 정비 사업때 전자 투표 허용
[부동산 #45] 올해(25년) 6월 28일,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 소득 상관 없이 6억 원 이하 대출
[부동산 #46] 올해(25년) 6월 27일 규제 이후 전세에서 월세화(반전세)를 가속시킬 것이다
[부동산 #47] 주택연금 개편 추진 중... 월 수령액 조금 늘어날 듯..
- [부동산 #48] 주 4.5일제 도입과 노란봉투법 시행 시에는 아파트 분양가 더 올라갈 수 있다
[부동산 #49] 2년간 실거주 하지 않는 외국인, 수도권 주택 못 산다!!!
[부동산 #50] 주택 연금이란 무엇이고, 주택 연금은 주택 담보 월 대출이면서 복리 이자가 숨어있다
[부동산 #51] 전세보증금 90%에서 70% 강화되면... 월세화는 더 가속화된다
[부동산 #52] 25년 9월 7일 부동산 대책 발표 및 주택 공급 계획의 135만 호에 대해 생각해 보자
- [부동산 #53] 가상자산(코인) 매각 대금 부동산 거래 시 보고 의무화!!
[부동산 #54] 연간 산재 사고 3명 넘는 사업장은 영업이익 5% 과징금 부과 및 산재 사망 수에 따라 영업정지 기간도 늘어난다.
[부동산 #55] 미성년자가 집주인(임대인)이면 전세 사기를 조심해야 된다!!!
첫 법원 경매 방문 후기 (1부) / (2부) 22.09.20
1)부동산 권리분석과 명도소송실무 강의를 듣다~
2)부동산 경매, 공매 3주 차 수업~
3)부동산 경매, 공매 5주간 수업 마무리~
4)부동산 등기 수업~
5)부동산 등기 실무 마지막 수업~
25.10.21
.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Hey @blackeyedm!
Wow, another insightful deep dive into Korean real estate policy! Your ability to break down these complex regulations, like the October 15th announcement, is seriously impressive. I appreciate how you highlight the nuances, like the exclusion of 비아파트 from certain regulations and the potential impact of construction delays on supply.
The analysis of possible future policy moves (보유세 card!) and the potential consequences is spot-on. And that table summarizing the loan regulation changes? Incredibly helpful!
Your series on Korean real estate is a valuable resource for anyone trying to navigate this tricky market. Thanks for sharing your expertise, and I encourage everyone to jump into the comments and share their thoughts on these new regulations! What strategies are you considering in light of these changes?
직접세 늘리는건 어려울겁니다 간접세를 좀 늘릴수도
내년 지방선거때 어느 당이 의석수를 많이 가져가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고...
우려했던 게 실행될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드네요 @.@
제가 볼땐 민주당 정권잡으면 집값 올라간다... 이런 의식이 박힌게 문제라 봅니다.
실제... 공급이 가능한 지역이 어딜지... 그리고 그 지역에 들어갈 사람이 얼마나 될지.....
그건 아무도 모른다고 봐요....
단 전세라는 제도를 없애려고한다.... 딱 그것만 보이네요
민주당이 정권 잡으면 집값 올라간다는 프레임은 있긴 하죠ㅎㅎ
그리고
전세 제도 없애려고 하는 포스팅 내일 올릴까 합니다 @.@
https://darkwaterreptiles.org/product/red-fire-female-bearded-drag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