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47] 주택연금 개편 추진 중... 월 수령액 조금 늘어날 듯..
올해(25년) 8월 4일,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최근 감사원 지적사항(주택연금의 주요 지표와 보증료 산정 방식이 가입자에게 일부 불리하게 적용됨)을 반영해서 주택연금 월 연금액 산정 방식을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주택연금 계산기로 월 연금액을 알아보면...
생각보다 월에 받는 금액이 작더군요...
- 주택연금이란?!
고령층 주거 안정과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해서 부부 중 1명이 만 55세 이상이면서 공시가격이 12억 원 이하인 주택이나 주거용 오피스텔을 소유자는 주택을 담보로 매달 연금을 지급하는 상품이고...
다주택자는 부부 소유 주택의 공시지가를 합산한 가격이 12억 원 이하이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현재는 공시가격 12억 원을 시세로 환산하면 약 17억 원이지만...
지금 정부에서는 공시가격의 시세 69%에서 90%까지 단계적으로 2030년까지 올릴 거라고 합니다.
(민생 안정 지원금 30.5조 원을 풀었기 때문에... 그것을 메꾸려면 세금을 다른 곳에서 메꿔야 합니다.
그래서 90%가 안 되더라도 최소한 80%까지 올리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공시가격 올라가면...
지역 건강 보험료 내시는 분들은 건강 보험료도 덩달아 올라가는 거 알고 계시죠?! @.@)
.
.
그렇다면...
달라지는 주택연금 3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 첫 번째) 초기 보증료 개편
현재 초기 보증료는 집값의 1.5%로 적용된 부분을 가입자의 상황에 따라서 차등 적용하는 방식으로 바뀔 예정
- 두 번째) 주택 가격 상승률 산정 방식 개선
60세 미만 가입자에게 처분가율을 자동 하향 조정하는 부분을 폐지가 되고,
지금까지 전국 주택 가격지수만 사용하던 방식+ 실거래가격지수를 도입을 추가함으로써 주택가치 예측치를 상향 조정해서 대출한도와 연금 산정 시너지 효과가 나올 예정.
- 세 번째) 기준 금리 기준을 변경
현재는 양도성예금증서 금리를 기준으로 연금액을 계산한 부분을 은행의 실제 자금 조달 금리 기준으로 변경되면...
양도서예금증서 금리보다 은행의 실제 자금조달 금리가 조금 더 높아서 연금액이 조금 더 늘아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상) 70세 기준, 시가 4억 원 주택 보유한 분의 월 연금액의 기존 118만 원에서 122만 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함.
.
.
그리고
주택연금의 장점과 단점을 살펴보면...
주택연금 장점)
- 가입 주택이 5억 원 이하이면 재산세 25% 감면과 주택연금을 받으면서 평생 주거가 보장이 됨.
(가입 주택이 5억 원이 초과되면 재산세가 부과됨)
- 가입 주택이 5억 원 이하이면 재산세 25% 감면과 주택연금을 받으면서 평생 주거가 보장이 됨.
주택연금 단점)
- 첫 번째) 한 번 정해진 주택연금이 물가 상승률에 반영되지 않고, 주택 값이 상승해도 받는 연금 금액은 그대로 형성됨.
- 두 번째) 비용이 여러 가지가 발생하는데...
초기 보증료는 조율될 예정이고, 감정평가 수수료, 인지세, 근저당 설정비(주택 소유권이 가입자에게 있어서 재산세, 건보료를 납부)
등이 있습니다.
(23년 10월 12일부터 2억 원 미만 1주택자는 주택연금 가입할 경우 감정평가수수료를 내지 않음.)
- 세 번째) 주택연금 받고 있다가 나의 집이 상승해서 중도 해지 시에는 금융기관으로부터 받은 대출을 모두 상환해야 함.
그리고
노후에 돈이 없다면...
주택연금이 최후의 보류라고 생각하시고...
저가의 집이라도 있으면 어느 정도 생활에 보탬이 되고,
정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생계급여와 주거비 지원도 해당이 되게 되면...
조금은 숨통이 틔울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 [부동산 #1] 경매, 공매로 넘어간 집, 2023년부터 임차인(세입자)의 보증금 피해 최소화하는 방안 발표!!!
[부동산 #2] 감정평가서 부풀린 '전세 사기' 급증!!!
[부동산 #3] 서울, 경기도 최근 3년 실거래가 신고 위반 1만 6천 건 발생~
[부동산 #6] 신종 월세 사기 조심해야 합니다!!!
[부동산 #7] 법원에서 '깡통전세' 중개는 부동산 중개인에게 60% 책임 판결
- [부동산 #8] 정부는 역전세 대란을 막기 위해 대출 규제를 1년간 한시적으로 완화한다~
[부동산 #10]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로 인한 가계 부채 증가
[부동산 #12] 주택연금 가입기준 9억 원 이하에서 12억 원 이하로 확대된다.
[부동산 #13] 주택담보대출, 전세 대출도 올해 연말 또는 2024년 1월부터 온라인으로 갈아타기 가능
[부동산 #14] 부동산 공제 증서 계약 건벌로, 바꾸면 안 되는 건가?!
- [부동산 #17] 전세사기 불안감으로 인한 아파트 전세 쏠림 현상
[부동산 #18] 전매 제한 ok, 실거주 의무 폐지는 No
[부동산 #19] 올해(2024년)부터 대출 상품은 스트레스 DSR 제도 적용된다.
[부동산 #20] 신축 비아파트(오피스텔, 빌라) 2년간 주택 수 제외된다!!!
[부동산 #23] 분양가 상한제 실거주 의무 3년 유예~
- [부동산 #24] 아파트 미분양 물량 중에서 9천만 원 할인 분양이 나와서 입주민이 화나다
[부동산 #26] 1주택 종합부동산세 폐지에 대한 민주당 내부 온도차가 다르다!!!
[부동산 #27] 올해(24년) 7월부터 전세사기 예방을 위해 강화된 부동산 중개사 업무 시행
[부동산 #28] 올해(24년) 10월부터 5대 은행에서 전입세대 확인이 가능해진다!!!
[부동산 #30] 전세사기특별법 여야 합의 처리... 전세 사기 피해자에게 공공임대주택 최장 20년 제공
- [부동산 #32] 올해(24년) 12월부터 공시가격 수도권 5억 원, 지방 3억 원 이하 빌라 1채는 청약때 무주택으로 인정된다!!!
[부동산 #33] 중국 시멘트 업체, 건설 공사비 낮추는 국내 시멘트 시장 진입을 노린다.
[부동산 #34] 우미건설, 두산건설은 층간 소음 저감 바닥구조 공동 개발을 하다.
[부동산 #35] 25년(내년) 6월부터 30년 된 아파트는 재건축 안전진단 패스
[부동산 #36] 무한 갱신 청구 임대차 보호법을 몰래 발의하려고 하다가 철회하다!!!
- [부동산 #37] 올해(25년) 7월부터 전세 대출 보증도 소득, 기존 대출 따져 축소한다!!!
[부동산 #38] 외국인 집주인이 전세 사고 내면 바로 강제 경매된다!!!
[부동산 #39] 올해(25년), 1억 미만 가계 대출도 은행 소득 심사 받도록 바뀐다.
[부동산 #40]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안 2년 더 연장 (27.05.31까지~)
[부동산 #41] 대출 대신 "지분 투자 담보 대출" 과연 시행 될까??
[부동산 #42] 올해(25년) 5월 27일부터 전세 계약 체결 전에 임대인 정보 조회 가능해진다.
[부동산 #43] 롯데건설, 능동형 층간소음 저감장치 기술 개발
[부동산 #44] 노후계획도시 정비 사업때 전자 투표 허용
[부동산 #45] 올해(25년) 6월 28일,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 소득 상관 없이 6억 원 이하 대출
첫 법원 경매 방문 후기 (1부) / (2부) 22.09.20
1)부동산 권리분석과 명도소송실무 강의를 듣다~
2)부동산 경매, 공매 3주 차 수업~
3)부동산 경매, 공매 5주간 수업 마무리~
4)부동산 등기 수업~
5)부동산 등기 실무 마지막 수업~
25.08.09
.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This post has been upvoted by @italygame witness curation trail
If you like our work and want to support us, please consider to approve our witness
Come and visit Italy Community
@blackeyedm, another insightful and meticulously researched post on real estate! Your deep dive into the upcoming changes to the 주택연금 (housing pension) is incredibly valuable, especially with the detailed breakdown of how the monthly payments might be affected.
The way you've explained the complexities of the 보증료 (guarantee fee) 개편 (reorganization) and 금리 기준 변경 (interest rate change) makes it easy to understand how these changes could impact senior citizens. Plus, highlighting both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주택연금 gives readers a balanced perspective.
Your continuous efforts to keep the Steemit community informed about these crucial financial shifts are truly commendable. Thanks for sharing your expertise! What are your thoughts on the government's projected increases in 공시가격 (official prices)? I'm eager to hear what others think!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택연금..나중엔 정부가 주택을가져가는건가요,,호불호는 있을거 같습니다
그리고
자세히는 기억 안 나는데...
배우자는 주택연금을 이어서 받을 수 있었던건지... 기억이 가물가물하네요.
그래서
부모님 있으면 주택연금이 괜찮다고 이야기 해주면 좋은데...
일부 자녀들은 그 주택을 부모님 돌아가시면 자기꺼니까...
주택연금 왜 가입하냐고 하는 자녀도 있다곤 하더군요 @.@
그렇다면...
혼자인 분들이 돌아가면 물려줄 사람이 없으니....
정부에게 귀속되게 될텐데...
이 부분을 내가 죽었을 때...
어떻게 해달라고 하는 제도까지 있으면...
많은 분들이 더 이용하겠죠.
돈이 정말 없을때는 주거도 하면서 소액의 돈도 받을 수 있는 주택연금은 괜찮다고 봅니다.
(나중에 월세가 엄청 올라갈거라고 보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