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Tech Update: 2025년 9월 5일의 주요 자료와 인사이트
%CPU 사용률은 거짓임
https://www.brendanlong.com/cpu-utilization-is-a-lie.html
이 글은 CPU 사용률 지표가 실제 서버 성능을 정확히 반영하지 않는다는 점을 실험을 통해 분석합니다. Ryzen 9 5900X 프로세서에서 stress-ng를 사용한 테스트 결과, 50% CPU 사용률 시 실제 작업 처리량이 60~100%에 달해 지표와 큰 차이가 있음을 보여줍니다. 하이퍼스레딩과 터보 부스트 기술이 CPU 사용률 계산을 왜곡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며, 시스템 성능 평가 시 벤치마크 기반 접근법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CPU_사용률 #하이퍼스레딩 #터보부스트 #성능모니터링 #서버용량계획
Slack Explorer MCP: Slack의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 MCP Server
https://github.com/shibayu36/slack-explorer-mcp
Slack Explorer MCP는 Slack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Model Context Protocol(MCP) 서버입니다. 이 서버는 Slack API 토큰을 활용하여 메시지, 채널 데이터 등을 효율적으로 가져와 MCP 클라이언트와 연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Docker 컨테이너로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AI 도구와의 연계를 통한 자동화된 분석 및 리포팅이 가능합니다.
#Slack #Model_Context_Protocol #MCP_서버 #Docker #Slack_API
Cronicle - 단순/분산 작업 스케줄러(웹 기반 Cron)
https://github.com/jhuckaby/Cronicle
Cronicle은 Node.js 기반의 차세대 Cron 대체 도구로, 웹 UI를 통해 작업 예약과 실행 관리를 제공합니다. 분산형 아키텍처를 지원하여 여러 서버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으며, 자동 장애 조치 및 서버 자동 발견 기능을 포함합니다. 또한 실시간 상태 확인, 성능 통계, 플러그인 방식의 확장성을 제공하여 유연한 작업 스케줄링을 가능하게 합니다.
#Node.js #Cron #분산_시스템 #웹UI #작업스케줄링
Firefox 142의 새로운 기능
https://www.mozilla.org/en-US/firefox/142.0.1/whatsnew/?oldversion=139.0.4&utm_medium=firefox-desktop&utm_source=update&utm_campaign=142
Firefox 142는 Relay 기반 이메일 마스크 기능을 통해 신규 계정 가입 시 익명성을 강화하고 스팸을 차단합니다. 링크 프리뷰 기능으로 페이지 스냅샷을 미리보고, AI 기반 탭 그룹화로 유사한 탭을 자동 정리하며 모든 연산은 로컬 AI 모델로 수행되어 프라이버시를 보호합니다. Android와 iOS에서는 비공개 탭 자동 잠금, 언어 번역 확장, 스마트 비밀번호 관리, 디자인 개선 등 다양한 플랫폼별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Firefox_142 #이메일마스크 #링크프리뷰 #AI_탭_그룹화 #로컬_AI
재활용 Google Pixel 5에서 운영되는 이 블로그 (2024)
https://blog.ctms.me/posts/2024-08-29-running-this-blog-on-a-pixel-5/
이 블로그는 재활용된 Google Pixel 5 스마트폰과 Termux를 사용하여 구축되었으며, 100W 태양광 패널과 Jackery 파워스테이션을 통해 완전히 오프그리드 환경에서 운영됩니다. Hugo 기반으로 구축된 블로그는 ssh, rsync, cron 등을 활용한 자동화된 관리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동작을 보여줍니다. 이 실험은 중고 하드웨어와 재생 에너지를 결합한 저비용 및 환경친화적인 웹 호스팅의 가능성을 입증합니다.
#Google_Pixel_5 #Termux #Hugo #태양광 #오프그리드_컴퓨팅
VibeVoice - Microsoft의 차세대 오픈소스 음성 합성 모델
https://microsoft.github.io/VibeVoice/
Microsoft의 VibeVoice는 텍스트로부터 장시간의 자연스러운 다화자 대화 음성을 생성하는 차세대 TTS 음성합성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7.5Hz 초저 프레임레이트 연속 음성 토크나이저와 Next-Token Diffusion 방식을 활용하여 최대 90분 길이의 음성과 최대 4명의 화자를 동시에 합성할 수 있습니다. 실험 결과, VibeVoice는 기존 오픈소스 및 상용 모델 대비 주관적·객관적 품질 모두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나, 영어·중국어 외 언어 지원 부족 등 일부 한계점이 있어 현재는 연구·개발 목적으로만 사용이 권장됩니다.
#TTS #음성합성 #다화자대화 #Microsoft #Diffusion_모델
RubyMine이 이제 비상업적 용도로는 무료 사용 가능
https://blog.jetbrains.com/ruby/2025/09/rubymine-is-now-free-for-non-commercial-use/
JetBrains가 RubyMine을 비상업적 용도로 무료 제공하기로 발표했습니다. 이는 학습, 오픈소스 기여, 개발 콘텐츠 제작, 취미 개발 등에서 유료 버전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며, 상업적 사용에는 기존 유료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무료 라이선스는 익명 사용 통계 수집에 동의해야 하며, 옵트아웃이 불가능합니다.
#RubyMine #JetBrains #비상업적무료 #Ruby개발 #Rails_개발
이제 Zed에서 Claude Code를 베타로 사용 가능
https://zed.dev/blog/claude-code-via-acp
Zed 에디터와 Claude Code의 통합이 공개 베타로 출시되었으며, 새로운 Agent Client Protocol (ACP)을 기반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AI 에이전트와의 연결을 확장합니다. 이 통합을 통해 개발자는 Zed 내에서 실시간 다중 파일 편집, 커스텀 워크플로우, 그리고 Claude Code의 완전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ACP 어댑터가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타 에디터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커뮤니티 참여와 피드백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Zed #Claude_Code #Agent_Client_Protocol #ACP #코드_에디터
AI 사용이 뇌를 재구성하여 인지 능력 저하를 유발한다는 MIT 연구 결과
https://publichealthpolicyjournal.com/mit-study-finds-artificial-intelligence-use-reprograms-the-brain-leading-to-cognitive-decline/
MIT 연구에 따르면 ChatGPT와 같은 대형 언어 모델(LLM)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뇌 연결성 약화, 기억력 감퇴, 주의 집중 및 시각 처리 네트워크 저활성화 등 장기적 인지 저하가 발생합니다. EEG 뇌파 검사 결과, LLM 사용자 그룹은 검색 엔진 사용자 그룹에 비해 뇌 기능 회복이 어려웠으며, 인지적 부담 전가로 이어져 창의성과 자율성이 감소했습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 의존이 인간의 본연적 인지 역량과 사고 체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정기적인 휴식과 직접적인 뇌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ChatGPT #뇌연결성 #기억력감퇴 #EEG_뇌파 #인지적부담전가
탈리폼 + 리드 어트리뷰션
https://informs.io/?ref=geeknews
이 글은 마케터들이 광고 채널의 효율성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툴을 소개합니다. 이 툴은 각 전환(폼 제출) 시 방문 경로와 사용자 여정을 시각화하여 마케팅 효율 분석을 지원합니다. 개발자보다는 마케터 대상으로 설계되었으며, 마케팅 업무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탈리폼 #리드어트리뷰션 #광고채널 #전환분석 #사용자여정
AI 코딩 주장의 허상, 왜 '삽질웨어' 폭증은 나타나지 않는가
https://mikelovesrobots.substack.com/p/wheres-the-shovelware-why-ai-coding
이 글은 AI 코딩 도구의 생산성 증대 주장을 데이터와 연구 결과를 통해 검증합니다. METR 연구와 직접 실험 결과에 따르면 AI 도구 사용이 오히려 개발 속도를 21% 느리게 하는 경향이 있으며, 10배 생산성 향상 주장은 실제 소프트웨어 출시량 증가로 이어지지 않았습니다. 개발자들은 마케팅 주장보다 실제 데이터와 경험을 바탕으로 도구 선택을 해야 한다고 결론짓습니다.
#AI_코딩도구 #개발자생산성 #METR_연구 #삽질웨어 #GitHub_Copilot
HunyuanWorld-Voyager: 단일 이미지에서 3D 영상을 생성하는 World Model
null
텐센트 혼원 연구팀에서 개발한 HunyuanWorld-Voyager는 단일 이미지를 입력으로 사용자 지정 카메라 경로를 따라 3D 일관성을 유지하는 RGB 및 깊이 영상을 동시에 생성하는 확산 모델 프레임워크입니다. 이 모델은 세계 일관성(world-consistency)을 통해 공간적/시간적 불일치 없이 자연스러운 장면 탐색을 가능하게 하며, VR/AR 콘텐츠 제작, 3D 게임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습니다. WorldScore 벤치마크에서 77.62점으로 최고 성능을 기록하며 경쟁 모델 대비 균형 잡힌 성능을 보여줍니다.
#HunyuanWorld-Voyager #3D_비디오생성 #확산모델 #카메라제어 #VR_AR콘텐츠
BrainCraft Challenge: 뇌과학에서 영감을 받은 미니 브레인(mini-brain) 만들기 챌린지
https://github.com/rougier/braincraft
BrainCraft Challenge는 계산 신경과학에서 영감을 받은 미니 브레인(mini-brain) 만들기 챌린지로, 생물학적으로 영감을 받은 신경망을 설계하여 간단한 의사결정 문제를 해결하는 에이전트를 개발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 챌ンジ는 100초의 제한된 학습 시간 내에서 Leaky Rate Unit 기반의 단순한 신경망 구조를 사용하며, 강화학습, 진화 알고리즘, 비지도 학습 등 다양한 접근법을 통해 신경과학적 원리의 실용성을 검증합니다. 현재 첫 번째 과제(Simple Decision)가 진행 중이며, 참가자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모델을 제출하고 리더보드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BrainCraft_Challenge #계산신경과학 #미니브레인 #Leaky_Rate_Unit #강화학습
재미로 보는 나에게 맞는 AI 서비스 추천
https://kissdesty.github.io/ailove
이 글은 사용자의 필요에 맞는 AI 서비스를 추천해주는 웹 도구를 소개합니다. 10개의 질문을 통해 Gemini 2.5 Pro, Grok 4, GPT-5, Claude 4, Perplexity 중 하나를 추천하며, Gemini의 Deep Research 기능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Kiro와 Claude 4 Sonnet으로 개발되었습니다. Github Pages에서 호스팅되는 정적 페이지로, 방문자 카운터만 외부 서비스를 사용합니다.
#LLM #Gemini_2.5_Pro #Grok_4 #GPT-5 #Claude_4
awesome-dotnet-fba: C# 파일 하나로 Hello World부터 Aspire 스택까지
https://github.com/rkttu/awesome-dotnet-fba
이 글은 단일 C# 파일로 Hello World부터 Windows Forms/WPF, AI 챗봇, Playwright 웹 크롤러, Aspire 기반 마이크로서비스 스택까지 구동할 수 있는 기능을 소개합니다. 유료 IDE 없이 Cursor, Windsurf, Amazon Kiro, Eclipse Theia, VS Code 등에서 NuGet 패키지를 인식하며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설명합니다. 관련 예제와 자료를 모아둔 Awesome .NET FBA 컬렉션을 제공합니다.
#C# #.NET #Aspire #마이크로서비스 #NuGet
유튜브 영상/웹페이지를 10초만에 구조화된 노트로 만드는 크롬 확장프로그램
https://chromewebstore.google.com/detail/clip-tilnote-%EC%9C%A0%ED%8A%9C%EB%B8%8C-%EC%9B%B9%ED%8E%98%EC%9D%B4%EC%A7%80%EB%A5%BC-10/focbaalelhmfiddakohmchapddnhbdkp
이 글은 개발자가 레퍼런스 자료 정리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만든 '클립'이라는 크롬 확장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이 도구는 Ctrl+J 단축키로 웹페이지나 유튜브 영상을 AI가 자동 요약하여 구조화된 노트로 변환하며, 기술 블로그, 논문 등 다양한 콘텐츠에 적용됩니다. 무료로 사용 가능하며, 특히 외국 문서나 기술 자료 정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크롬확장프로그램 #AI_요약 #유튜브영상정리 #웹페이지요약 #구조화된노트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H4LAB Delegation Status (2025/09/05)
https://www.steemit.com/@h4lab/2025-09-05-status
@h4lab님이 당신을 멘션하였습니다.
멘션을 받고 싶거나 받지 않으시려면 댓글을 남겨주세요. 빠른 시일내에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