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ble Coin과 美달러화 등 전망steemCreated with Sketch.

in #kr2 days ago

포스팅이미지.png
여타 자산과 마찬가지로 암호(가상)화폐의 합리적, 효과적 규제가 요구된다. 그리고 Stable Coin이 향후 美中통화 패권(覇權)경쟁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편 국제 금(金)가격의 상승은 인플레이션 우려 및 주식투자 Hedge수요 등으로 지속이 예상된다. 아울러 美달러화 약세론자가 향후 기록적 수준의 달러화 가치하락 재개를 예상한다. 관련 내용을 간략히 살펴본다.

  • 암호(가상)화폐의 규제

최근 美의회에서 암호화폐 법안이 통과된 후 정부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가 고조된다. 그러나 과도한 완화 여파로 기본적인 보호 장치가 없다면 시장붕괴, 불확실성 등을 초래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증권거래위원회(SEC) 폴 앳킨스 위원장도 美당국의 효과적인 규제의 마련을 촉구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주요 핵심목표 달성이 중요과제로 부각한다. 첫째 예측 가능성과 안정성 확보이다. 둘째 재산권 보호의 강화이다. 셋째 정보공개 장려 및 사기행위 방지를 위한 투명성과 명확성이다. 넷째 정보의 독점방지 등을 위한 감독 및 규칙 수립에 따른 공정한 경쟁이다. 한편 향후 암호화폐의 높은 잠재적 활용성을 감안해 기술발전이 저해(沮害)되지 않는 수준에서 제도적인 보호 장치도 시행할 필요가 있다.

  • Stable Coin과 통화패권

중국은 강력한 암호화폐 규제를 지속한다. 그러나 美달러화 기반 Stable Coin의 Global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기존의 강경기조에 변화징후(徵候)가 발생한다. 특히 중국은 자국 내 달러화 기반 Stable Coin 수요확대가 결국 달러화 가치의 상승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 반감된다. 美통화패권이 Stable Coin에서 재현되는 것도 우려사항이다. 이에 중국은 홍콩 달러화 기반 Stable Coin 발행 시범운영으로 위안화의 영향력 강화를 시도(試圖)한다. 그러나 과열을 우려한 中당국의 규제 등은 한계점으로 지목된다. 또한 위안화의 Global 결제통화 비중이 3%미만(달러화 약 48%)인 점을 고려하면 위안화기반 Stable Coin의 기축(基軸)통화 확대 가능성은 기대난이다. 설령 일대일로(⼀帶⼀路)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결제수단으로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점유율 확대는 제한적일 소지가 있다.

  • 국제 금(金)가격 전망

연 초 이후 金가격은 37% 오르고 금년은 30년 만에 가장 높은 연간 상승률 기록이 예상된다. 최근의 상승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우려, 트럼프 무역정책 불안정성 및 달러화 약세, 각국 중앙은행의 金매입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한편 金가격은 이전까지의 상승에 따른 부담에도 다음의 이유로 추가상승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美주가가 최고점 부근에 있으나 채권가격 역시 크게 올라 채권을 통한 헤지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위험Hedge를 위한 金매입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美무역 및 연준 관련 정책의 지정학적 위험이 상존(常存)한다. 셋째 美연준의 금리인하 사이클 재개 전망이다. 넷째 위에서 거론한 상승원인들이 지속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 美달러화 가치 전망

美달러화 가치는 연 초 기록적 수준의 하락 이후 최근 안정세를 유지한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다음의 이유로 큰 폭의 추가 하락을 예상한다. 첫째 기존 달러화 하락을 초래한 美예외주의에 대한 재고(再考), 트럼프 무역정책에 따른 경제성장 불안, 지속적인 쌍둥이(무역과 재정) 적자 우려 등이 상존(常存)한다. 둘째 고용부진에 따른 공격적 금리인하 가능성 증가이다. 셋째 Global 투자자들의 美자산의 비중축소 과정에서의 Hedge포지션 구축(構築), 금리인하로 Hedge비용이 낮아지면서 해당 움직임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넷째 여전히 고평가 국면이라는 투자자 인식이다. 이에 향후 1년 동안 달러가치의 5~7% 추가 하락이 예상된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Sort: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