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정책 위기와 부채 스트레스
미국과 인도의 관세협정은 장기적 측면에서의 상호 이해관계를 감안(勘案)할 필요가 있다. 美트럼프의 관세정책이 대법원 위헌판결 시 재정적자 계획은 위기에 직면한다. 미국의 트럼프 관세는 경제 전반에 부담을 안긴 값비싼 실책이다. 전 세계적인 정부부채 스트레스가 4가지 방식으로 Global 시장에 확산될 우려가 있다. 관련 내용을 간략히 살펴본다.
미국과 인도의 관세협정
미국은 對러 제재를 위해 인도産 제품에 50% 관세를 부과하고 인도는 거세게 반발한다. 인도는 전체 상품수출의 약 1/5 을 美시장에 의존하고 있어 50% 관세가 철회되지 않으면 GDP 1% 감소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인도는 감정적인 대응으로 중국 및 러시아와의 협력강화를 도모하지만 미국과의 협력에서 얻는 이익과 비교 시 현실화 가능성은 낮다. 오히려 인도는 이번 기회를 성장을 위한 개혁, 새로운 시장개척 등의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미국 역시 인도는 中견제 및 공급망의 다각화에 필요한 파트너임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美관세정책 위기
美트럼프는 재정부채 문제의 해결의 일환으로 관세정책을 시행한다. 실제로 `25 회계연도가 1개월 남은 현 시점에서 관세정책 이후 세수입이 1,650억 달러 늘어 전년대비 950억 달러 증가한다. 그러나 최근 연방 항소(抗訴)법원은 관세정책에 위법판결을 내린 상황이고 지금은 대법원이 이와 관련된 항소 심리를 진행 중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대법원 상고(上告)에서 패소 시 상당한 규모의 환급금을 지불할 필요가 있다. 물론 패소할 경우에도 무역확장 법률 232조 등을 통한 우회적 관세부과 시도는 지속될 전망이다. 그러나 추가관세 부과의 시도는 시장의 변동성 확대, 경제성장 저해(沮害), 노동시장 둔화 등에 의한 세수감소 및 재정적자 확대를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실책인 美트럼프 관세
美백악관은 무역적자 상황을 「특별한 위협」으로 규정하며 긴급 경제권한 법률을 근거로 전(全)방위적으로 관세를 부과한다. 허나 이는 본래 무역정책이 아닌 해외위기 대응 관련 법률이므로 정당성이 부족하다. 이에 연방항소법원 위법판결에 이어 대법원 심리는 올해 11월에 예정되어 있다. 만약 관세가 무효로 판결되면 1,300억 달러의 환불이 요구된다. 기업 역시 피해보상 청구 및 대체관세 부과가능성 등으로 높은 수준의 불확실성에 직면할 소지가 있다. 아울러 美가계에 연간 약 1,200달러의 부담을 지우고 비용 및 물가의 상승, 성장둔화, 보복조치 등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전망이다.
정부부채 스트레스
여러 국가에서 정부재정 우려가 증가한 상황이지만 지금까지 관련 반응은 주로 채권시장에 국한한다. 하지만 다음의 4가지 방식으로 Risk가 전이(轉移)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첫째 장기 차입비용 증가로 주식, 주택시장, 기업 자금조달 등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 둘째 프랑스의 예산 혼란 등으로 美자산 다각화를 위한 유럽투자 확대에 제동이 걸리면서 유럽 자산시장에 타격을 준다. 셋째 Big Tech의 대규모 AI(Artificial Intellect) 투자가 장기 자본비용 상승에 반응하며 주가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넷째 일본의 인플레이션 압력증가 및 금리인상 예상 등으로 3조 달러 이상의 엔 Carry Trade에 따른 해외자산 매도 및 포지션 청산이다.
Global 주가상승 지속
Bank of America에 의하면 향후 경기개선 기대 등을 반영하여 Global 주가상승이 지속될 전망이다. 이는 무역 갈등의 완화와 금리인하 가능성 등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설명한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