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속 정보 ' 영화의 이해' ] / 영화의 탄생배경과 발전
영화 라라랜드를 보셨나요?
영화 속 주인공인 세바스찬은 미아에게 분노합니다.
미아가 재즈를 시덥잖은 음악으로 취급했기 때문입니다.
세바스찬은 미아를 데려가서 재즈에 대한 열정을 보여줍니다.
재즈의 역사에 대해 설명하는데, 제가 미아였으면
전문적인 세바스찬의 모습을 보고 반했을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영화를 자주 봅니다.
연인과 영화 데이트를 할 때,
영화의 탄생 배경에 대해 얘기를 해준다면
어떨까요?
지금부터 영화 탄생 배경에 대해 알아봅시다~
최초의 영상물
최초의 영상물은 혼자 볼 수 있는 형태였습니다.
동전을 넣고 미리 찍어놓은 영상물을 보는 것이었죠.
당시에는 놀라워서 줄을 서서 보곤 했다고 하네요
보통은 일상적인 행동들을 보여줬는데 시간이 점차 지나면서
마술, 차력쇼와 같은 신기한 것을 보여주는 용도로 발전했습니다.
여러분이 잘 아시는 발명왕 에디슨이 만들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여러 나라에서 이와같은 장치가
많이 개발됐습니다.
에디슨이 발명한 장치 이름은 키네토스코프라 불리었습니다.
1889년에 발명했습니다.
최초의 영화
<열차의 도착>>
에디슨이 발명한 장치는 혼자 볼 수 있었기에
현대에서 영화로 인정하지 않는 것이 거의 정설입니다.
최초의 영화는 1분이 채 안되는 짤막한 영상입니다.
현대의 기술이 참 많이 발전했죠?
지금은 1분이 안되는 영상을 보기 위해 돈을 지불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터인데 참 신기합니다. ㅎㅎ
영상을 보여주려면 장치가 있어야겠죠?
장치는 뤼미에르 형제가 개발했는데
이름은 시메나토그래프라고 합니다.
1890년대에 개발됐습니다.
영화의 발전
조르주 멜리에스 가 영화의 획을 긋습니다.
지금 현대의 창작물의 가치가 있는 영화를
최초로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는 편집기술을 창작해냈습니다.
그러면서 페이드, 디졸브와 같은 영화에 없어선
안될 기법들을 도입했습니다.
그 뒤로는 여러분이 아시는 MGM, WB, 파라마운트 등 대형 메이저 배급망이
1920년도에 생겨나면서 영화가 대량생산되기 시작한다.
세계 2차대전이 끝난 뒤로는 TV방송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는데,
그로인해 영화 시장이 주츰했다. 그러면서 큰 스크린, 입체, 자동차 극장 등이
생겨난다.
1970년대 중반에는 '무비브렛'이라는 영화학교 출신의 젊은 영화감독들이
부흥을 일으켰다. 그들 중에는 여러분이 잘 아는 스티븐 스필버그가 있다.
그러면서 현대까지 쭉 성장을 해왔다.
<< 영화의 이해 / 이형식 / 건국대학교출판부 >> 를 참고했습니다.
-Nehun-
삶을 공유합시다.
잘 봤어요. 전문적인 글 많이 올려주세요
@hjshim 도 기억해주시구요. 팔로우 하고 갑니다
네 저도 팔로우 하겠습니다~
에디슨이 만들었다는건 처음 알았네요.
잘보고가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