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의 금강산, 해남 달마산-7 달마봉(達磨峰) 불썬봉steemCreated with Sketch.

in #kr14 hours ago

b-DSC08399.JPG

남도의 금강산, 해남 달마산-7 달마봉(達磨峰) 불썬봉

달마봉을 나타내는 안내판에 어째서 '불썬봉'이라는 이름이 함께 쓰여 있는지 궁금했다. 정확한 공식적인 이유는 찾기 어렵지만, 여러 가지 설이 있다고 한다. 가장 유력한 설은 과거 이 봉우리 근처에서 숯을 굽거나 불을 피웠던 흔적이 있어 '불을 썼던 봉우리'라는 의미로 불렸다는 것이다.

b-DSC08430.JPG

b-DSC08387.JPG

b-DSC08431.JPG

또 다른 설은 바위가 많고 뾰족한 봉우리 형태가 마치 횃불이나 촛불과 비슷하다고 여겨져 불썬봉으로 불렸다는 것이다. 어찌 되었든 아직 이 이름을 버리지 못하고 계속 사용하는 이유는 다소 억지스럽게 느껴졌다. 어감도 이상하고 잘 사용하지 않는 단어라 어색하게 들린다.

b-DSC08390.JPG

b-DSC08393.JPG

b-DSC08392.JPG

달마산 정상에서는 남해의 노량대교가 선명하게 눈에 들어왔다. 노량대교는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전투가 벌어졌던 노량해협을 가로지르는 다리로, 그 역사적인 의미와 함께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한다.

b-DSC08395.JPG

b-DSC08398.JPG

b-DSC08397.JPG

산 정상에는 길 안내를 잘못해 알바하게 만들었던, 검은 마스크로 얼굴을 꽁꽁 가린 남자가 유일하게 있었다. 인증 사진 한 장을 부탁했다. 그는 자기는 안 찍어도 된다며 100대 명산 인증에는 관심 없고 그냥 가고 싶은 산을 다닌다고 했다.

b-DSC08409.JPG

b-DSC08413.JPG

b-DSC08414.JPG

달마봉(達磨峰) 불썬봉

b-DSC08402.JPG

달마봉은 달마산의 정상으로 높이 470m의 봉우리이다. 달마산은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송지면, 서정리와 북평면 서홍리에 걸쳐 있는 산이다. 호남정맥에서 뻗어 나온 기맥이 한반도 최남단으로 가기 전 해남군 남단에서 암릉(巖陵)으로 솟은 산이며, 송지천의 발원지이다.

b-DSC08407.JPG

b-DSC08404.JPG

b-DSC08401.JPG

달마산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영암군 산천조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달마산은 이미 고려 시대 이전에도 그 명성이 중국에까지 알려질 정도로 유명한 산이었다고 한다. 달마산 능선 길이는 약 12㎞ 이상이다. 능선의 기암괴석이 아름다워 남도의 소금강(小金剛)이라 불린다.

b-DSC08420.JPG

b-DSC08421.JPG

b-DSC08406.JPG

능선에 오르면 완도와 진도의 다도해가 조망되고, 날씨가 좋은 날에는 제주도 한라산까지 볼 수 있다. 산림청에서는 2002년 10월에 전국의 100대 명산으로 선정하였다. 달마산은 인도의 승려이자 중국 선종의 비조인 달마대사(達磨大師)와 관련되어 이름이 유래되었다.

b-DSC08418.JPG

b-DSC08415.JPG

b-DSC08417.JPG

달마산의 봉우리는 관음봉, 달마봉[불썬봉], 떡봉, 도솔봉이 있으며, 주봉은 달마봉이다. 지층은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설옥리층이며, 대표 암상으로는 시대 미상의 석영, 견운모편암, 박층의 규암, 암회색천매질암이다.

b-DSC08419.JPG

b-DSC08426.JPG

b-DSC08427.JPG

달마산의 기암괴석들은 미황사 사적비(美黃寺事蹟碑)[1692]에 기록된 창건 설화에서 “일만불이 다투었다.”라고 표현할 정도로 빼어난 경관을 자랑한다. 산자락에는 작은 금샘과 큰 금샘, 총창샘, 용담, 방지가 있으며 수정굴, 미타혈, 용굴 등이 있다. 4월 초에는 진달래가 만개한다.

b-DSC08422.JPG

b-DSC08432.JPG

b-DSC084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