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사이행(三思而行)

in #krsuccess11 days ago

'세 번 생각한 후에 행동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을 실행하기 전에 신중하게 여러 번 생각하고 숙고하여 경솔하게 행동하지 않음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이 성어는 중국 춘추시대의 대사상가 공자(孔子)의 말씀이 담긴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편에서 유래합니다. 공자의 제자 중 한 명인 계문자(季文子)는 매우 신중한 사람이어서, 무슨 일이든 "세 번 생각한 후에 행동한다"고 했습니다. 공자는 이 이야기를 듣고 "두 번이면 족하다(再斯可矣)"고 말했습니다. 공자의 의도는 계문자의 신중함을 칭찬하면서도, 지나친 망설임이나 결단력 부족을 경계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너무 많이 생각하다 보면 오히려 기회를 놓치거나 시기를 놓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공자의 의도와는 달리, '삼사'라는 숫자를 통해 행동하기 전에 충분한 숙고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긍정적인 의미로 더 널리 사용됩니다. 즉, 경솔한 판단이나 즉흥적인 행동으로 인해 후회할 일이 없도록 심사숙고(深思熟考)해야 함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중요한 계약을 체결하기 전, 큰 투자를 결정하기 전, 혹은 중대한 인사를 단행하기 전 등 결정의 결과가 미칠 영향이 큰 경우에 특히 삼사이행의 중요성이 부각됩니다. 이 고사성어는 성급한 결정을 피하고 신중하게 일을 처리해야 함을 강조하는 지혜로운 행동 방식을 제시합니다. 현대 사회에서 빠른 의사결정이 요구될 때도 있지만, 동시에 신중한 검토와 분석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변함없는 가치를 지닌 고사성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