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 선제타격계획에 대한 분석과 해석 - 제1단계 작전을 중심으로 (11)
(열한번째)
다. 연구 범위와 구성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1950년 6월 25일부터 6월 30일까지 기간을 다뤘다. 북한군이 6.25전쟁을 개시하여 6월 28일 서울을 점령한 후 국군에 대한 추격을 중지하자 스탈린과 소련 군사고문단이 국군의 추격을 재촉하여 공격을 재개하는 시점까지이다. 선제타격계획 측면에서 보면 제1단계 작전 기간이다.
본 논문에서 주로 북한군 제1, 2군단 중 서울 방향으로 공격하는 부대를 중심으로 내용을 전개했다. 이 부대 중 언급하지 않아도 연구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해.공군의 역할 및 활동, 한강을 극복하고 김포 반도로 상륙하여 서울을 서측방에서 공격하여 국군의 퇴로 및 증원 차단 임무가 부여된 제6사단은 내용 전개상 생략했다. 이는 제2군단 예하 제2사단과 역할이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6사단은 제2사단의 분석으로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서론, 정치목적 측면, 군사목표 측면, 수단과 방법 측면,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서는 연구목적, 연구 방법과 한계, 연구 범위와 구성을 언급하였다. 이후에는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측면에서 내용을 기술했다. 그리고 결론에서는 지금까지 기술한 내용을 세 가지로 정리하고 교훈을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greentree, your in-depth analysis of the Korean War's initial days (June 25-30, 1950) is a fascinating and meticulously researched piece! I'm particularly impressed by your focused scope, examining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s strategy, especially their 1st and 2nd Corps, in those crucial first days.
The breakdown into political objectives, military goals, and methods provides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early strategic decisions made. The justification for focusing on specific units and omitting others (like the 6th Division) due to their similar role to the 2nd Division shows a great level of analytical rigor.
This post offers valuable historical insight. I'm eager to see your conclusions and the lessons you draw from this critical period! I encourage others to delve into @greentree's research and share their perspectives. What aspects of early Korean War strategy do you find most intriguing? Let's discu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