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사에 나타난 춘천전투(1950. 6.25~27) (1)
북한군이 춘천을 돌파한 후 국군을 수원 이북에서 포위 섬멸하려던 계획을 좌절시킨 부대는 국군 제6사단이었습니다. 이와 같은 전과를 달성했던 국군 제6사단이 북한군 제2군단을 3일 동안 방어했던 기록을 비교하여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 6.25일 전투
가. 육군전사(1953)
05:00 아 제7연대 정면으로 침입한 적 제12사단 1개 연대 병력은 전차 10대를 수반하여 인남리 제10중대 정면으로, 적 제2사단 1개 연대는 고곡리 제9중대 정면으로, 적 제2사단 1개 연대는 양동리 제6중대 정면으로, (중략) 각각 침공을 개시, 각처에서 적과 교전
12:00 제3대대의 제9,10중대는 춘천으로 철수하여 제3대대 잔여 병력과 합류 대기중에 있었고, 아군은 공격 남하하는 적을 전선에서 극력 저지하고 있었음
14:00 제5,6,7중대는 교내리와 구봉리로 철수 개시, 소양강을 도하하여 제5,6중대는 교내리 좌우 양측에, 제7중대는 구봉리 441고지 일대에 배치 완료
14:30 지내리 후방에 배치 중이던 아 야포대와 대전차포중대는 춘천으로 철수, 춘천 남방에 배치
20:00 원주에 주둔 중이던 아 제19연대 제3대대 춘천 도착 , 23:00 금산리 일대 배치하여 화천 방면에서 남하하여 오는 적 12사단 주력 저지. 제1,2대대는 20:00 기차로 원주를 20:00 기차로 원주를 출발하여 춘천으로 향함
1950년 6월 25일은 일요일이었고 많은 병력이 휴가 중이어서 북한군의 기습공격에 대응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또한 지휘관이 부재중인 부대도 많았다. 그래서 초기 대응은 우왕좌왕했다. 이에 비해 국군 제6사단은 병력 휴가를 제한하고 전투준비를 충실하게 하였다. 이것이 북한군의 기도를 좌절시키는 요인 중의 하나가 되었다. 지금 생각보면 천만다행이었다.
@greentree, your deep dive into the Republic of Korea 6th Infantry Division's defense against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2nd Corps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War is incredibly insightful! Highlighting the specific times, locations, and units involved in the fierce fighting around Chuncheon really brings the historical events to life.
The way you've contrasted the initial chaos caused by troop leave and unpreparedness with the 6th Division's readiness underscores the crucial role that preparation played in blunting the North Korean advance. It's fascinating how you've pieced together information from sources like the 육군전사 (Army History) to illustrate the intensity of the battles.
Your post real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ilitary readiness and offers a compelling analysis of a pivotal moment in Korean War history. Thank you for shedding light on these vital events! I'm sure others would love to hear your thoughts on the impact of these early battles on the overall course of the w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