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사에 나타난 춘천전투(1950. 6.25~27) (12)

나. 한국전쟁사 2권(1968)
05:00 북한군 4개 연대(제2사단 2개 연대, 제7사단 2개 연대)가 소양강에서 도하공격 개시. 적은 자주포로 소양강교 정면에서 사격을 가하고 보병부대는 아 제19연대에 조공, 주공은 우두산 일대에서 도하를 강행. 적은 예비 17연대를 투입하여 파상공격을 감행

*적의 일부가 아군배치가 희소한 원진나루터에서 도하하여 지내리 구봉산 계곡을 따라 대룡산(899고지)으로 진출하자 제7연대장은 연대수색중대를 이 방면으로 급파하였으나 이미 적이 도달하고 있었음. 아 제7연대는 소양강대안 일대에서 적에게 결정적인 타격을 주었으나 우회침투한 적으로 말미암아 진지를 포기하고 시가지 후방으로 후퇴함

10:00 사단장은 제2연대의 상황이 위급하여 10시경 제19연대에게 홍천으로 이동을 명령하였으나 적과 교전중이라 13시경에야 석사리 남방으로 학곡리를 경유 홍천으로 이동함

11:00 아 대전차포는 소양강교를 진입을 시도하는 자주포 2대를 격파(다른 공간사는 10:00시에 심일이 1문의 대전차포 포격으로 자주포를 파괴했다고 기록하고 있음). 제6사단 사령부는 학곡리에서 홍천으로 이동

13:00 적 자주포 수대와 보병 1개 중대가 춘천시내 돌입

18:00 제7연대는 춘천을 포기하고 20:00경에 석사리로 이동

6.25전쟁 초기 춘천전투 기록을 따라가면 심일의 공적을 남기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왜 그랬을까? 꼭 그렇게 해야만 하는 이유가 있었을까? 기록에 따르면 심일이 6월 25일에 적 자주포를 파괴하고 6월 26일에 적 자주포를 파괴했다. 또 6월 27일에도 적 자주포를 파괴했다. 적 자주포를 파괴하는 방법과 파괴된 댓수만 다를뿐 심일이 적 자주포를 파괴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미 공간사는 그런 기록이 없다. 다만, 아 포병사격에 의해 적 자주포가 파괴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육군군사연구소가 그 배경과 이유 그리고 과정을 분석하고 평가를 내렸다. 역사 기록은 정직해야 한다. 그래야 후세가 교훈과 영감을 얻을 수 있다. 거짓말을 기록하면 시간이 흐른 뒤에 거짓이 사실로 둔갑하게 된다. 이것으로 인한 피해는 역사를 왜곡하고 정신을 멍들게 한다. 그런 측면에서 아쉽고 안타깝다.

Sort:  

@greentree, this is a powerful and insightful post analyzing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Chuncheon Battle during the Korean War. Your meticulous attention to detail, comparing Korean and US accounts, is truly commendable! The way you've highlighted the discrepancies regarding Sim-il's reported achievements and the potential motivations behind them is fascinating and raises important questions about historical accuracy.

It's so important to critically examine historical narratives, and you've done a fantastic job of encouraging readers to consider the potential biases and agendas that can influence them. This post serves as a reminder of the need for honesty and integrity in historical documentation. I'm eager to see what others think about these differing accounts and the possible reasons behind them. What are your thoughts on the role of national pride in shaping war narratives? Let's discu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