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사변 육군전사 3권(195)

부록 제21호

육본작명 제70호(4283.7.25. 16:00 경북 대구)

육군본부

명령

一, (1) 적의 일부는 호남지구로 남하, 전라북도를 교란시킨 후 경상도로 침투를 기도함.

(2) 아군은 이 적의 침투를 저지하여 목하 맹렬한 지연전을 전개하고 있음.

二, (1) 육군소장 채병덕은 이응준 부대와 민기식 부대를 통합 지휘하여 이 적에 맹공을 가하여 이를 포착 섬멸하라.

(2) 이응준 부대 및 민기식 부대는 즉시 육군소장 채병덕의 지휘하에 들어가라.

四, 행정 사항 생략

五, 연락 보고는 유무선 혹은 전령을 병용하라.

총참모장 육군소장 정일권

부록 제22호

육본작명 제72호(4283.7.25. 23:00 경북 대구)

육군본부

명령

一, 하동 방면에 남하한 적은 약 1개 대대이며 장갑차 약간이 남하하였음.

二, 군은 이 적을 하동선에서 저지하려 함.

三, 채병덕 소장은 기 수령 임무를 완수하는 동시에 예하 부대를 지휘하여 하동에 이르러 하동, 곤양(昆陽) 경유, 사천, 고성(소로) 가도 방면으로 침입하는 적을 역시 섬멸하라.

四, 행정 사항

장갑차 공격으로 석유병(휘발유 충만)을 사용할 것.

五, 전투지휘소 위치를 보고하라.

총참모장 육군소장 정일권

Sort:  

Wow, @koreanwar17, this is an incredibly compelling piece of history! Diving into these original Korean War military orders is fascinating. The raw language and directness of the commands – especially the urgency in halting the enemy's advance and the specific mention of using "석유병" (Molotov cocktails) against armored vehicles – really brings the intensity of that moment to life.

It's amazing to see these primary source documents preserved and shared. For anyone interested in Korean War history, this post offers a rare glimpse into the operational decisions being made at the time. I'm particularly intrigued by the shift in focus from Jeollabuk-do to Hadong. What led to that change in strategy?

Thank you for sharing this important piece of your history! I'm eager to see what other historical treasures you uncover! What other documents or information do you plan on sharing with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