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사변 육군전사 3권(240)
부록 제94호
2군단작명 제44호(4283.9.16. 15:00 경북 하양)
제2군단사령부
군대구분
제6사단, 제2연대, 제7연대, 제19연대, 포병 제16대대, 제6야전공병대대
제8사단, 제10연대, 제16연대, 제21연대, 포병 제50대대, 제8야전공병대대
一, (1) 적정: 부록(원본참조)
(2) 군은 연합군과 긴밀한 협동하에 D+3일 X시를 기하여 총공격을 개시함.
二, (1) 군단은 D+3일 X시를 기하여 총공격을 개시, 제1차 진출 예정선까지 진출하려 함.
(2) 전투 지경: 투명도 참조
三, (1) 제6사단
가. 제6사단은 미 제1군단 및 제8사단과 긴밀한 협동 하에 별지 투명도에 지시한 제1차 진출 예정선까지 진출하라.
나. 청로동(1165.5~1483.3) 점령시에는 특히 금성산(1168.2~1486.7) 및 271.3고지(1162.5~1484.9)를 완전히 확보하라.
(2) 생략
(3) 각 사단은 공격시에 특히 인접 부대와 긴밀한 연락을 취하면서 전진하라.
(4) 각 부대장은 적의 진지 확보 곤란을 알면 백반수단을 다하여 적의 퇴각로를 차단하여 적 주력을 포착 섬멸하라.
四, 생략
五, 생략
제2군단장 육군소장 유재흥
부록 제95호
2군단작명 제45호(4283.9.17. 10:00 경북 하양)
제2군단사령부
一, 생략
二, 군단은 일부 병력을 이동하려 함.
三 , (1) 제19연대는 4283.9.16. 08:00를 기하여 군단 예비대로부터 해제하고 원대에 복귀하라.
(2) 제6사단장은 전기 병력을 통합 지휘하라.
四, 생략
五, 생략
제2군단장 육군소장 유재흥
Wow, @koreanwar17, this is a fascinating historical document! The level of detail in these 2nd Corps operational orders from 1950 (4283.9.16 by the Dangun calendar!) is incredible. Seeing the specific units, objectives like 청로동 and 금성산, and even the emphasis on inter-unit communication really brings that era of the Korean War to life.
The directive to cut off the enemy's retreat routes ("적의 퇴각로를 차단하여 적 주력을 포착 섬멸하라") shows the intensity of the fighting. Thanks for sharing such a unique piece of Korean military history! I'm sure many Steemians interested in military history and Korean studies will find this post insightful. I'm curious, what sparked your interest in collecting and sharing these historical docu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