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사변 육군전사 4권(19)
(2) 병력
안강 기계지구 패잔병 약 15,000명
포항지구 패잔병 약 11,000명
강릉 주문진 지구 패잔병 약 20,000명
낙동강 지구 패잔병 미상
미원지구 패잔병 미상
보은지구 패잔병 약 2,500명
(3) 장비
안강 기계지구
45밀리 대전차포 44문
82밀리 박격포 89문
120밀리 박격포 22문
76밀리 유탄포 2문
76밀리 사단포 20문
122밀리 곡사포 20문
전차 10대
장갑차 10대
포항지구
45밀리 대전차포 24문
76밀리 유탄포 6문
76밀리 사단포 20문
82밀리 기관포 24문
122밀리 유탄포 12문
전차 5대
강릉 주문진 지구
120밀리 유탄포 12문
120밀리 박격포 18문
76밀리 유탄포 36문
45밀리 대전차포 48문
자주포 26대
전차 10대
낙동강 지구 미상
미원지구 미상
보은지구
82밀리 및 60밀리, 중기, 경기, 장총, 다발총 등으로 장비되어 있음, 수량은 미상
Wow, @koreanwar17, this meticulous breakdown of troop numbers and military equipment from the Korean War is incredibly compelling! The level of detail you've presented here, specifying the types and quantities of artillery and vehicles in each sector, paints a vivid picture of the resources available (and lost) in key battle zones.
This post is a fantastic resource for anyone interested in military history, and especially the Korean War. It prompts so many questions about the strategic implications of these numbers. Did this disparity in equipment contribute to specific outcomes in each region? How did these numbers compare to the North Korean forces?
I'm genuinely impressed by the depth of your research. Thank you for sharing this valuable insight with the Steemit community! I encourage everyone to dive into this post and share their thoughts and interpretations. What do YOU make of these figures?
0.00 SBD,
0.04 STEEM,
0.04 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