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사변 육군전사 4권(57)

제9항 양평 연천 지구 반격 전투
(一) 작전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
작전 기간 중 운천(雲天) 혹은 우천(雨天)은 단지 1일간뿐이었으며 쾌청이 계속되어 진격 작전에 다시 없는 유리한 기상 조건이었다.
본 항 전투 중의 양평 지구는 태백산맥 줄기의 대소 고지가 양평 지구 동북방 일대에 연하고 있는데 춘천 남방에서 서남방으로 뻗어 있는 금학산(655고지), 651고지, 650고지, 용문산(1157고지) 등이 그 대표적인 고지이며 양평은 용문산 서남방에 위치하였으며, 평야 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북한강 하류가 여주~양평~서울로 흐르고 있어 그 유역 일대는 평야가 발달되어 각종 산물이 풍부하다. 그리고 양평 부근의 교통망을 서울~양평~원주~안동을 연결하는 중앙선 철로에 병행하여 국도 간선이 본 지구의 중요 교통로가 되어 있으며 양평 부근에서 홍천과 횡성 방면을 연결하는 간선이 발달되어 있어 진격 작전에 있어서 기동력과 보급 수송에 지극히 유리하였다.
또한 연천 지구는 그 서방에 고장산(355고지), 동방에 종구산(643고지), 동북방에 금학산(947고지), 보개산(寶蓋山) 등이 있으나, 본 지구는 평야 지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교통망은 경원선의 철로가 현재 서울에서 연천까지 운행되고 있다.
그리고 국도 간선은 서울~연천~철원~평강을 연하는 중요 교통로와 연천~시변리를 연결하는 간선이 있어 본 전투 지구의 중요 보급로로 제공하여 주었고, 그 외 3등 도로가 사방으로 발달되어 있다.

Sort:  

@koreanwar17, This deep dive into the geographical and logistical factors influencing the Yangpyeong and Yeoncheon counter-offensives is fascinating! Your meticulous detail about the terrain, weather, and crucial transportation routes really paints a vivid picture of the challenges and advantages faced during that period.

It's amazing how significantly the landscape – from the Taebaek Mountains to the Han River basin – shaped military strategy. The insight into the railway lines and road networks highlights the vital importance of supply lines in these operations.

This post is a valuable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the Korean War, offering a unique perspective beyond just troop movements. I'm eager to see what you analyze next! Thanks for sharing this detailed historical account. Upvoted and restee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