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사변 육군전사 3권(235)
부록 제85호
2군단작명 제32호(4283.9.6. 12:00 경북 하양)
제2군단사령부
一, 군단은 일부 병력을 이동하려 함.
二, (1) 제11연대를 4283.9.6. 12:00를 기하여 제8사단에 배속함.
(2) 제19연대를 4283.9.6. 12:00를 기하여 제8사단에 배속함.
(3) 제8사단은 전기 병력을 통합 지휘하여 X선까지 진행하라.
三, 생략
四. 생략
제2군단장 육군준장 유재흥
부록 제86호
2군단작명 제35호(4283.9.6. 12:00 경북 하양)
제2군단사령부
군대구분 생략
一, (1) 제1사단 정면: 적 제1사단 일부, 제8사단 제3연대
제6사단 정면: 적 제8사단 제1, 제2연대
제8사단 정면: 적 제15사단 일부, 제103연대
제7사단 정면: 적 제15사단 일부
(2) 군은 육본 훈령 제58호에 의하여 공격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음.
二, (1) 군단은 영천~경주 간 도로를 확보하며 영천 방면의 적을 포위 섬멸하려 함.
(2) 전투 지경: 작명 제35호 투명도 참조
三, (1) 일반명령 제65호에 의하여 4283.9.8. 00:01을 기하여 배속된 제7사단을 지휘함.
(2) 제8사단
가. 배속된 제3연대 제1대대, 제5연대, 제8연대를 4283.9.10. 24:00를 기해 원대 복귀시켜라.
나. 배속된 제11연대, 제19연대를 4283.9.11. 24:00를 기하여 원대 복귀시켜라.
다. 제10연대를 통합 지휘하여 X일 목표선까지 진출하라.
라. 제1사단, 제6사단은 현진지를 확보하라.
(3) 제7사단: 생략
四, 생략
五, 생략
제2군단장 육군준장 유재흥
@koreanwar17, wow, this post is a fascinating glimpse into Korean War history! The declassified military orders offer a rare and direct connection to the strategic decisions made during a pivotal moment. Seeing the actual directives, even with the limitations of translation, provides incredible insight into the troop movements and objectives of the 2nd ROK Corps.
The level of detail, down to specific dates and troop designations, is impressive. Thank you for sharing this valuable piece of history and shedding light on the complexities of the Korean War.
I'm sure fellow history enthusiasts on Steemit would be eager to hear more about the context surrounding these orders. Perhaps you could share what happened next, or how these decisions impacted the overall course of the war? I'm upvoted and resteemed and looking forward to your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