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구처럼 트레이딩: 코인 차트 "처음부터" 공부하기 #14- 수평선
트레이딩의 꽃! 수평선을 연구해 볼 시간입니다. 여러 번 강조 했지만, 여타 자료들과 다르게 저는 수평선이 트레이딩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그려도 맞는 것 같고, 저렇게 그려도 맞는 것 같고~
트레이더 마다 다르게 그리는 수평선들. 뭐가 맞는 거고 틀린걸까요? 사실 맞고 틀리고는 없습니다. 어떤 시점, 어떤 시장에서는 A 트레이더가 잘 맞출 수 있고, 다른 때에는 B 트레이더가 더 잘 맞출 수 있습니다. 시장의 규칙성이나 패턴은 꾸준히 변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한 가지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면, 추세 입니다.
바로 이전 포스팅에서도 언급 했다 시피, 가격은 멈추지 않습니다. 옆으로 가거나, 위로 가거나, 아래로 가거나 셋 중 하나 이며, 위나 아래로 갈때에는 택할 수 있는 가격적인 패턴 (파동) 이 사실상 정해져 있습니다.
추세를 기준 삼아 선을 그어본다면 훨씬 효율적, 객관적, 정확하게 그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전에 포스팅한
https://steemit.com/kr/@roostermine/5g7121
수평선 포스팅도 참고해 볼만합니다!
저는 가로빛 이라는 툴과, 추세줄이라는 툴 2가지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특히 추세줄의 경우 쉬프트를 누른 후 사용하면, 수평으로 고정을 시켜 주기 때문에 수평선을 그을때 편리합니다.
파동과 동일하게 자석 모양의 툴을 사용하여 가격의 종가에 선을 긋습니다!
추세 구간의 수평선
먼저 추세 구간의 수평선 입니다. 추세 구간 중 에서도 매수 에 대한 상승 추세에서만 작성해보겠습니다.
업비트는 상승 추세의 끝자락에 오픈한 거래소라, 2017년 데이터가 없어 오늘은 Bitfinex Eth/usd 이더리움 차트로 진행하겠습니다.
선을 많이 그어놨습니다. 먼저 상승 추세 에서 매수에 대한 관점은 전 고점에서만 신경을 쓰게 됩니다. 사실 2번 포스팅
https://busy.org/@roostermine/3bhcbg-2
에서 다룬 내용이기도 합니다.
규칙은 간단합니다.
예시 구간
- 종가로 고가를 갱신한다.
- 일봉상 3캔들의 조정을 기다린다.
- 종가에 선을 긋는다.
매매 방법
- 돌파시 종가에서 매수를 한다. (추세 돌파 매매)
- 돌파 후 종가 수평선에 지정가 매수를 걸어둔다. (위 예시는 체결이 안된 예시)
손절
손절은 두 전략 전부 현 파동의 저가로 잡습니다. 종가의 저가가 아닌 저가로!
익절
새로운 툴을 소개시켜 드립니다! 툴 박스에서 Long Position 이라는 툴을 찾습니다!
이런식의 초록 빨강 상자가 나옵니다.
한 번 살짝 클릭해주면 이런식으로 나옵니다.
먼저 중간 왼쪽에 있는 공을 누르면 "진입가" 를 표기할 수 있습니다. 저 공을 드레그 해서 진입을 하는 가격에 붙여주세요! 예시는 돌파 매매로 합니다!
왼쪽 아래 공은 손절 박스를 늘리는 것 입니다. 공을 드레그 하여 저가에 붙여주세요.
마지막으로 익절 공입니다. 익절을 조절하여
1이 되도록 조정해주세요! 그럼 끝~
뜻하는 바는 21.3불에 진입하여, 손절은 16.25로 설정하고, 익절은 26.34에 하겠다 입니다. 가운데 숫자는 손절 대비 익절을 얼마나 할 것이냐 를 뜻하죠. 보통 트레이딩을 할 때 1:1 즉 손절할때 만원, 익절할 때 만원 버는 것을 기준으로 잡곤 합니다.
현 전략은 손익비를 1:1 로 설정하는 것이지요.
비추세 구간의 수평선
비추세 구간의 매매법을 소개 시켜드리며 25% 구간, 75 % 구간 또는 수평 매물대를 활용한 방법을 사용한다 했습니다. 오늘은 수평 매물대를 이용하여 매매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25%,75% 구간에 대한 규칙은 매우 잘 맞았습니다.
고점을 돌파하지 못하며 비추세의 가능성을 보여줬으며 75% 구간까지 되돌림을 주어 매수 기회를 제공하였습니다.
저라면 이렇게 그릴 것 같습니다. 먼저 고점 매물 부터 살펴 본다면
고점을 그리고 소파동으로 파란색 파동을 그려주었습니다. 가장 윗 매물대는 412.21 불에 해당하며 그 다음 매물대는
저점을 1회 낮춘 구간을 "저는" 비추세 구간의 상단 매물대로 잡습니다.
하단 매물대도 동일하게 파란색 소파동을 찾아 고점에 설치해줍니다.
진입은 저점 매물대인 232불에서, 목표가격은 335불에서, 손절은 136불로 잡습니다. 손익비는 1:1 이 나오게 되죠.
수평선 (=수평 매물대 = 매물대) 를 활용한 비추세 구간의 매매는 수익을 극대화 시키기 매우 좋은 전략입니다. 75%,25% 규칙에서는 75% 되돌림에서 매수를 하여, 50% 구간에서 청산을 하게 되어 손익비가 1:1로 고정되지만, 수평선을 활용하게 되면 1:1 이상으로도 충분히 조절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숙련되지 않은 경우 너무 높은 가격에서 매수를 잡는 등, 손익비가 나오지 않는 자리에서 진입을 하는 실수를 하기 매우 쉽습니다.
절대 하지 말아야 할 것
이런 구간에서의 매수 입니다. 실제로 매우 강한 지지로 보이며, 고점에 그리는 수평선에 도달 후 반등 하였으나, 저희가 매매하는 추세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390불에서 매수를 하시는 장기간, 어쩌면 주봉/월봉 관점에서 1500불을 돌파할 것이다 라고 생각한 분들이 추세로 진입하는 위치 입니다.
저희가 매매하는 추세는 일봉, 조정은 길어야 2주짜리지만, 위 예시에서 발생한 조정 폭은 4달 짜리 입니다. 기준이 다른 것이죠.
절대 하지 말아야 할 것 2!
이런식으로 진폭이 좁아진 구간에서 작도하는 것 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언급했다 시피 무조건 큰 파동이 신뢰도가 높으며, 작은 파동은 큰 파동의 힘을 따라갑니다.
무조건 크게 그리고, 크게 그린거에 대해서만 대응하세요! 엉덩이가 무거운 자들, 기다릴 수 있는 자들만이 돈을 벌 수 있답니다! :)
오늘도 감사합니다!!
팔로, 댓글, 질문은 편하게 해주세요~
아이디어, 종목 등 같이 보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편하게 댓글로 남겨주세요~
투자 큐레이터 카카 성공투자 기원합니다.
오늘도 마니마니 감사합니다!
뜨아~~ 정말 어렵네요..
항상 제가 팔면 오르고... 제가 사면 떨어진다는...
차트를 제대로 볼줄 알게 되면 조금 나아지려나요~ ㅎㅎ
오늘도 감사합니다~
음... 조만간 다룰 내용이긴 하지만 사실 최저점을 잡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ㅠㅠ 전략을 만들어보면 “황홀한” 전략들은 신기루 같은 넘들이라 장기적으로 돈을 잃는 전략이더라구여. 매수 후 고통 받는 시간과 수익률은 비례하는 것 같습니다!
저도 매수 후 고통 받기 싫어서 올라가는 길에 사는 편인데, 실제로 수익률을 따져보면 되돌림에 해당하는 “저점”매수가 훨~씬 수익률이 높죠.
차트를 보면 꾸준히 수익을 낼 수 있는 것 같기는 한 것 같습니다!
오늘도 감사드립니다!
Posted using Partiko 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