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mcoin 25.8.28steemCreated with Sketch.

in #steem10 hours ago

스팀(STEEM/KRW) 차트를 단계적으로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현재 화면 기준 가격은 약 185원입니다. 올려주신 60분/240분/일봉 세 가지를 동시에 보며, 추세→모멘텀→변동성(ATR)→거래량→가격대→시나리오 순으로 논리적으로 연결하겠습니다.


1) 추세 구조(다중 시간프레임 정렬)

  • 일봉: 196원과 205원 사이에 두터운 저항대가 있고, 종가는 그 아래(185원)입니다. 큰 흐름은 “박스권 하단부에서 반등 시도”로 보입니다.
  • 240분봉: 단기 이동평균들이 서로 수렴했다가 약간 상방으로 벌어지려는 초기 국면. 뚜렷한 추세보다는 “상방 리테스트 대기” 느낌입니다.
  • 60분봉: 단기 캔들이 상단으로 치고 가며 최근 봉에서 거래량 동반 상승. “단기 상승 모멘텀 형성”이 확인됩니다.

해석 연결: 상위(일봉)는 아직 박스권, 중위(240분)는 전환 초입 가능성, 하위(60분)는 이미 시동. 즉, “단기 모멘텀이 상위 박스의 저항을 시험하러 가는 구조”입니다.


2) 모멘텀(수급 압력의 방향성)

  • 60분 RSI 약 54, MFI 약 58: 과열은 아니면서 매수 우위가 살짝 우세.
  • 240분 RSI 약 50, MFI 약 44: 중립~약세 중립, 위로 열려 있는 여지 존재.
  • 일봉 RSI 약 49, MFI 약 82: 일봉 RSI는 중립인데 MFI가 높아 “상단에서 공급(매도 압력) 경계” 신호.

해석 연결: 단기엔 살짝 우위지만, 일봉 MFI가 높아 196~205원 구간에선 이익실현/공급이 나올 확률을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3) 변동성(ATR·볼린저 관점)

  • 60분 ATR14 ≈ 2.1(상승 중): 장중 변동성 확대. 돌파·휩쏘우(페이크) 모두 가능성이 커짐.
  • 240분 ATR14 ≈ 4.3(하락 추세): 스윙 관점에선 아직 잔잔, 즉 방향결정 전 “압축 구간”.
  • 일봉 ATR14 ≈ 9.5(감소): 큰 흐름의 변동성은 눌려 있어, 결정적 돌파가 나오면 추세 탄력이 커질 여지.

해석 연결: 상위 프레임은 “스퀴즈 직전/직후”, 하위 프레임은 “당장의 파동 확대”. 즉, 60분의 변동성 증가가 상위 돌파(또는 실패)를 촉발할 ‘방아쇠’가 될 수 있습니다.


4) 거래량

  • 60분봉에서 상승 캔들과 함께 거래량 급증이 확인됩니다.
  • 240분·일봉은 상대적으로 평이하거나 이제 막 붙는 수준.

해석 연결: 단기 참여자 유입은 확인되었고, 이를 상위 프레임의 “결정적 저항”에서 이어갈 수 있느냐가 관건입니다.


5) 핵심 가격대(작동 가능성이 높은 구간)

  • 단기 지지: 183~185원(60분 단기 지지군) / 181.5원 부근(이탈 시 60분 구조 훼손)
  • 중·장 저항: 188~191원(근접 단기 매물) → 196원(일봉 중간 저항) → 205원(일봉 강한 저항대)
  • 하방 체크포인트: 180원, 이탈 시 177원대, 더 깊게는 172.7원 부근(일봉 하단 레인지)

6) 시나리오 별 기대 흐름(논리·무효화 기준 포함)

  • 시나리오 A(우상향 재시도: 단기 우세)

    • 흐름: 183~185 지지 유지 → 188 돌파 → 191 테스트 → 196 재돌파 시 200~205 도전
    • 논리: 60분 모멘텀+거래량이 상방 추세 전이를 주도, 240분 수렴 해제
    • 무효화: 183 이탈 후 181.5 하향 종가 마감(60분 추세 훼손)
  • 시나리오 B(레인지 공방: 가장 현실적 기본선)

    • 흐름: 183~191 박스 내 등락 반복 → 돌파 재료 대기
    • 논리: 일봉 MFI 과열, 상단 매물 부담. 상위 ATR 축소로 방향성 확증 지연
    • 무효화: 상단 196 상향 종가 또는 하단 180 하향 종가로 박스 종료
  • 시나리오 C(하방 재확인: 보수적 경계)

    • 흐름: 188~191에서 재차 밀림 → 183 붕괴 → 180~177 하단 지지 테스트
    • 논리: 일봉 과열 MFI에 따른 공급 우위 전환, 60분 변동성 확대가 하방으로 분출
    • 무효화: 191 회복 후 196 돌파

현재 증거의 균형은 B(레인지) → A(상방 재시도) 순으로 보이며, 196원이 “상위 전환의 문턱”입니다.


7) 실행 예시(교육용) — ATR 기반 손절·목표 설정

  • 단타(60분 기준)

    • 진입 예시: 184~185원 눌림 매수
    • 손절: 181.5원(대략 1.5~2배 60분 ATR 기준)
    • 1차 목표: 188~191원, 2차 목표: 196원
    • 논리: 60분 상승 파동 지속성 테스트, R:R 확보(예: 184 진입, 손절 -2.5, 1차 +4~7)
  • 스윙(240분·일봉 기준)

    • 보수적 돌파 추종: 일봉 종가 196 상향 마감 확인 후 진입
    • 손절: 191 하향 복귀 시 감액 또는 전량
    • 목표: 200~205 → 돌파 시 212대까지 열어두기
    • 논리: 상위 프레임 확증 후 추종, ‘가짜 돌파’ 리스크 축소
  • 역추세 숏(경험자 한정)

    • 구간: 200± 범위에서 음봉 전환+거래량 둔화 시 소량
    • 무효화: 205 상향 돌파 지속
    • 논리: 일봉 MFI 과열 구간의 공급 베팅(리스크 높음)

모든 예시는 교육 목적입니다. 실제 매매는 본인 원칙과 자금관리 기준을 우선해 주세요.


8) 체크포인트와 관리 기준

  • 확인 포인트
    • 60분 가격이 185 위에서 체류하며 거래량이 유지되는가
    • 188~191 저항 돌파 시 거래량이 더 붙는가
    • 일봉 종가 기준 196 돌파 여부(핵심)
  • 관리 팁(절차적)
    • 손절은 최소 1.5×ATR, 목표는 2.5×ATR 이상으로 설계하여 기대값 양수 유지
    • 분할: 저항 도달 때마다 일부 실현, 무효화 발동 시 지체 없이 정리
    • 뉴스·재료 체크: 돌파 직전엔 재료가 결과를 좌우하는 경우가 잦습니다

Screenshot_20250829_10521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