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에 깃든 詩 - 박경리/ 토지 44.

in #steemzzang2 days ago

image.png

박경리 선생님의 토지를 읽다보면 그 방대함과 등장인물들이 태생적이라할
가난과 한에서 벗어나려 할수록 조여들던 질곡과 아침이슬처럼 사라지던
영화와 권세의 덧없음이 씨실과 날실처럼 서로의 삶을 교차하고 드나들면서
강물처럼 흘러 물살이 나를 휘감았다.

오래 전에 삼국지를 세 번만 읽으면 세상사에 막힘이 없다고 했다.
그런데 최근에 또 그와 비슷한 말을 들었다. 토지를 세 번만 정독하면
이루지 못할 일이 없다고 한다.

우리 문학의 금자탑이라 할 토지를 다시 읽기 시작했다.
그리고 보석처럼 빛나는 문장을 발견하게 되는 행운이 찾아온다.

땀방울을 뚝뚝 떨어뜨리며 칼춤을 추던 월선네는 칼을 내동댕이 치고 할머니 앞으로 달려가서 무릎을 꿇었다.

하늘을 우러러보는 얼굴에 소름이 돋아나고 울음 터질 것 같았던 몸짓, 그 몸짓을 담벽에 붙어 서서 숨어 보았다. 그러한 날들의 기억은 주술(呪術)처럼 비밀스러운 것이었으며 그러니만큼 색채는 강렬하였다. 집념 깊 게 그 기억들을 조각보처럼 모아보는 것이었지만 그러나 그것을 어떠한 형태도 이루질 못하였다.

달이 없는 하늘에 빛 잃은 별들이 껌뻑이고 있었다. 동학군이 쫙 깔렸을 마을도 조용하였다. 개 짖는 소리만 이따금 흉스럽게 밤공기를 흔들곤 했었다.

  • 토지 제2편 추적과 음모 15장, 무명번뇌(無明煩惱) 중에서-

제3회 zzan문학상공모 (zzan Prize for Literature)

https://steemit.com/steemzzang/@zzan.admin/3-zzan-zzan-prize-for-literature

Sort: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jjy, I was immediately drawn into your reflection on Park Kyung-Ri's "Toji"! The way you weave together the epic scope, the characters' struggles against fate, and the ephemeral nature of power is truly captivating. I especially appreciate how you highlight the "fortunate" moments of discovering gem-like sentences within the text.

The passages you selected, particularly the one describing Wolseon's dance and the moonless sky filled with faint stars, are incredibly evocative. They perfectly capture the novel's blend of drama, sorrow, and beauty.

Your post makes me want to revisit "Toji" myself. It's a great reminder of the power of literature to resonate across generations. Thank you for sharing your insights! I see you've linked to the zzan문학상 공모 – an excellent opportunity for others to share their own literary passions. I'm sure this post will inspire many to delve into great works and perhaps even contribute their 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