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릉숲에서 만난 아기 담비 형제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최근 광릉숲 내 야생동물 무인센서카메라를 통해 아기 담비 두 마리가 어미로 보이는 담비와 함께 활동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담비는 산림생태계의 건강성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포식동물로, 이번 관찰은 광릉숲의 생태적 가치를 다시 한 번 입증하는 중요한 사례다.
영상에는 크기가 조금 다른 두 마리의 새끼 담비가 어미의 뒤를 따라다니는 장면이 담겼다. 이들은 올봄에 태어난 개체로 생후 약 100일가량 지난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담비는 4월 말에서 5월 초 사이에 새끼를 낳고, 생후 4~5개월이면 어미와 함께 겨울을 나며 사냥과 생존 기술을 배우고, 이듬해 봄이면 각자의 영역을 찾아 분산한다.
담비는 현재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되어 법적 보호를 받고 있는 종으로, 흔히 '한반도 산림생태계의 우산종'으로 불린다. 우산종은 해당 생물의 보호가 그 서식지에 함께 사는 다양한 생물 종의 보전으로 이어지는 종을 의미한다. 이는 곧 광릉숲의 생물다양성이 풍부하다는 방증이다.
광릉숲과 인근에 서식하는 담비는 수컷 2마리, 이번에 새끼를 낳은 암컷 무리 외에도, 주변 산림에 3~5개 무리, 약 6에서 10마리의 담비가 더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국내 다른 지역에 비해 유사면적 대비 매우 높은 밀도의 담비가 서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광릉숲이 이들에게 얼마나 우수한 서식 환경인지를 보여준다.
광릉숲은 단순히 자연환경이 뛰어난 서식지일 뿐만 아니라, 담비와 같은 멸종위기종 보호를 위한 사람들의 노력으로 더욱 의미 있는 공간이 되었다. 광릉숲은 생물다양성 보전의 거점이자 살아 있는 생태계의 교과서 같은 공간이다.
본문 이미지: 산림청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