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가닥 끊어진 DNA, 핵막에서 복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기영훈 뉴바이올로지학과 교수와 연구진이 사람
세포에서 유전자 디옥시리보핵산(DNA)을 복구하는 새로운 경로를 규명했다고
5일 밝혔다.
DNA는 생명 활동을 조절하는 중요한 유전정보를 담고 있지만, 방사선이나 화학
물질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특히 DNA 분자의 두 가닥이 모두 끊어진
‘이중가닥 절단’이라 불리는 손상은 제대로 복구되지 않으면 세포가 죽거나 암으
로 발전할 수 있다.
연구진은 세포핵막에서 ‘핵공복합체’라는 구조물에 손상된 DNA가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손상된 DNA가 핵막 단백질과 결합해 복구될 때 필수적인 단백질 부위도
함께 규명했다. 이번 결과는 DNA 손상 복구 과정을 조절하거나, 암세포의 복구
능력을 억제하는 새로운 항암 치료 전략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세포의 DNA 복구 경로를 새롭게 밝혀낸 중요한 성과로, 암 발생과
치료 저항성을 이해하는 데 실마리를 제공한다. 핵막 단백질과 DNA의 상호작용
과정은 향후 항암제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연구에는 명경재 울산
과학기술원(UNIST) 교수와 미켈레 파가노(Michele Pagano) 미국 뉴욕대 의대 교수
연구진도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지난 5월 게재됐다.
본문 이미지:조선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