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주식 거래과정의 핵심적인 네가지 단계
++++++++++++++++++++++++++++++++++++++++++++++++++++
일반적인 거래과정의 핵심적인 네가지 단계
++++++++++++++++++++++++++++++++++++++++++++++++++++
- 시장을 분석하라
매수 혹은 공매도 주문을 내기에 적합한 시기인지, 둘중 어느것도 내지 않는 편이 나은지
따져 보도록 하라 - 적합한 종목을 찾아내라
당신이 이용하는 거래 기법에 적합한 종목을 찾아라. 전체적인 주식시장과 유사한 동향을
보이는, 훗날 매수나 매도가 가능할 만한 종목에도 관심을 기울려라 - 매매촉발 요인을 설정하라
각 종목마다 주가가 어떤 움직임을 보일때 매수나 매도에 나설것인지 미리 결정해두어라
적절한 매매 신호를 설정해두면 이같은 촉발 요인이 발생할 때 곧바로 알수 있다. - 준비를 마치고 주문을 넣어라
매매 신호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여, 거래량을 어느정도로 설정할 것인지, 어떤 조건이
갖춰졌을때 시장에 진입하고, 시장에서 퇴장할 것인지 미리 정해두어라
(1)시장을 분석하라
거래할 때마다 매일 거쳐야 하는 과정의 첫단계는 시장 상황을 고려하는 것이다.
시장이 상승세를 보이는지 하락세를 보이는지 알아내려는 것이 아니다.
시장의 현재 추세를 정확하게 살펴보는 것이 목적일 뿐, 향후 동향까지 예측할 필요는 없다
시장이 다음과 같은 여건을 충족시킬때야 말로 스윙 트레이딩법을 이용해 커다란 수익을 낼수 있다.
- 시장 사이클 중 초반일때
시장을 위한 최적의 조건이 형성되는 시점은 주가가 지난 며칠 동안
특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다가, 이제 막 방향을 틀어 반대방향으로 나아가기 시작했을때이다.
다음에 나타나는 전반적인 주식시장의 사이클과도 보조를 맞출수 있을 것이다. - 기술적 지표가 적합할때
원하는 방향으로 시장이 움직일 확률을 높여주는 기술적인 요소들을 의미한다.
주가 수준의 지지선과 저항선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다른 시장 참가자들이 참고하는 추세선이나 이동평균선과 같은 기술적인 지표에서 확인되는
잠재적인 지지선과 저항선은 물론이고 0으로 끝나는 주가 수준 근처에서
생성되는 지지선과 저항선등도 확인해야 한다. - 상승여력이 충분할때
원하는 방향으로 시장이 움직일 경우 상당히 큰폭으로 움직일 확률을 높여주는 기술적인 요소들을
의미한다.
머릿속에서 what-if 분석을 수행해야 한다는 점을 잊지말자.
예를 들어 오늘 s&p주식이 15포인트 오른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시장이 새로운 상승 사이클을
시작한다는 의미인가? 지지선에서 지지를 받는 것인가? 추세선에서 반등하는 것인가? 주가가 저항선
부근에 도달할 가능성은 높은가? - 잠재적인 매수시점 A(시장의 상태분석)
가격이 며칠동안 하락했다가 며칠동안 다시 상승했다가 그 다음날에는 큰 폭으로 하락을 했으며,
900 포인트 다음날에는 안정을 찾는 것처럼 보였다.
이 시점에서 주가가 전일 고점을 돌파했다는 것은 상승 사이클이 시작될 잠재성이 있다는것
그리고 900 포인트에서 지지선을 딛고 반등이 시작될 잠재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s&p주가지수가
저항선에 도달하기 전까지 최소 925포인트에 이를거승로 보이며
950포인트까지 오를 가능성도 존재하는 만큼 상승여력도 충분히 확보될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시장에서 3 ~ 6%의 수익을 올릴 스윙귀회가 생길 가능성은 비교적 높다 - 잠재적인 매수시점 B
최저가를 형성한 거래일의 고가 이상으로 주가가 상승했다는것은 잠재적인 사이클 전환이 일어나
주가가 지지선을 확인하고 반등했다는 의미로 간주할 수 있다. - 잠재적인 매도시점 A
주가가 며칠동안 눈에 띄게 상승했다가 마침내 저항수준에 도달했다.
주가가 당일의 저가 아래로 떨어져 전일의 저가보다 하락한다는 것은 잠재적인 저항선을 확인하고
돌아선 후 새로운 잠재적인 하락 사이클을 형성하기 시작했다는 의미로 볼수 있다.
만일 시장이 더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을 경우, 해당 시점부터 매 거래일마다 잠재적인 매도가 가능했다.
그러나 이러한 일을 벌어지지 않았다. 이는 스윙 트레이딩에서 이용하는 WHAT-IF 분석의 중요한
측면을 보여준다. 시장이 무엇인가 움직임을 보였더라면, 나흘 동안은 매도에 나서기 좋은 시기가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거래를 촉발한 만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촉발조건이 충족되지도
않았기 때문에 이 기간동안 실제로 단기 스윙매매에 나서지는 않았을 것이다.
시장 상황으로는 매도 준비가 되어 있었으나 시장이 하락 사이클을 형성하기 시작했다는 시그널을
보이지는 않았다.
이 특정한 WHAT-IF 시나리오에서는 IF에 해당하는 조건이 성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지점이 잠재적인 매도시점이라고 여겨지는 것이다. - 잠재적인 매수시점 C
주가가 고가를 형성한 후 이내 급락하여 되돌림 현상이 발행하였으며, 전일 고가인 990 포인트 부근에서
발생한 상승여력이 3%정도 남아 있다. 따라서 시장의 움직임이 고가인 990 포인트를 넘어섰다는 것은
주가가 1020포인트 부근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인 상승 사이클을 형성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 매수에 나서지 말아야 할 시점
눈에 띌 만큼 되돌림 현상이 발행하지도 않았고, 상승여력도 1% 밖에 되지 않는 경우 시장이
매우 빨리 저항에 다다를 가능성이 높다
시장 상황을 분석하는 목표가 다음의 두가지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서라는 점을 기억해두자
첫번째 질문은 '시장이 어떤 움직임을 보여야만 매수하기 좋은 날이 될것인가?' 이고
두번째 질문은 '시장이 어떤 움직임을 보여야만 매도하기 좋은 날이 될것인가?' 이다.
만일 시장이 매매하기에 좋은 날이라는 신호를 특별이 보내오지 않는다면
다른날 거래를 하는 편이 낫다
사실상 이런 경우가 대부분임을 나는 경험을 통해 깨닳은 바 있다.
스윙 트레이더들이 매매하기 좋은 날은 아주 드물다.
우뇌를 제대로 훈련시키기 위해서는 이 분석을 아주 신속하게 해내야 한다.
좌뇌가 지배할 시간을 주지 말아라
처음에는 15초 미만의 시간동안 다음의 선택사항중에 해당하는 것을
고르며 훈련하는 편이 쉽다.
'주가가 어제 형성된 고가보다 상승했을때 매수에 나서라'
'주가가 어제 형성된 저가보다 하락했을때 매도에 나서라'
'둘중 어느 경우에도 해당하지 않을 경우 매매에 나서지 마라'
분석할때는 숫자에 연연하지 말고 전체적인 그림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신속하게 시각에 의존해서 분석할 경우 어쩔수 없이 지력 대신 직감을 사용하게 된다.
결정을 짧은 시간안에 내리지 못한다면 스톱워치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다.
만일 아무런 결정도 내리지 못한 채 정해진 시간이 다 흘러가 버렸다면
당신이 찾는 대답은 자연스레 '둘중 어느 경우에도 해당하지 않을 경우 매매에 나서지 마라'가 되는 것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차트를 힐끗 보고도 매수나 매도에 적합한 기준이 충족되었는지를 1초가 채 지나기도 전에
알아볼수 있게될 것이다.
매매주문을 내기 직전에 마지막 점검 차원에서 이러한 단계를 거칠 필요가 있다.
이와같은 결정을 짧은 시간안에 내릴수 있으면 당신은 직감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2)적합한 종목을 찾아내라
거래를 하기에 적합한 종목을 찾아내는 일은 어떤 거래기법을 이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다음과 같은 세가지 부류의 종목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1.거래가능한 종목
유동성이 있으면서 본인의 계좌 잔고에 적합한 수준의 가격을 지니고 있는 종목
2.주의해야할 종목
주시하고 있다가 주가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거래가 가능할 뿐아니라
잠재성 또한 지닌 종목
3.잠재력이 있는 종목
전반적인 주식시장의 상황과 어울릴 경우, 매매 주문을 낼수 있을 만큼 거래 잠재력을 지닌 종목
(3)매매 촉발 요인을 설정하라
관심 종목을 모두 선택했다면, 다음 단계는 어떤 현상이 일어났을때
이 주식들을 실제고 매수하거나 매도할 것인지 결정하는 일이다
매매의 도화선 역할을 할 촉발 요인을 정해두어야 한다.
이 단계에서는 관심 종목의 수를 한층 더 줄이는 것이 목적이다.
주가가 특정 수준을 넘어서거나 그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 대비하여
매매 신호를 설정해둘 정도로 매수나 매도에 적합한 단계에 거의 다다른 종목들을
선별해내고자 하는 것이다.
당신은 특정 주식을 매수할지, 매도할지 아니면 둘중 어느길도 택하지않을지 결정하려고 한다.
(4)준비를 마치고 주문을 넣어라
매매신호를 설정한 후에는 긴장을 풀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가 약간 생긴다
이럴때에는 매매신호가 울릴때까지 차트를 흝어보면서 정확하게 어느 시점에 시장을
빠져나가면 좋을지 생각해보면 좋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리스크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할수 있으며
이는 거래량을 결정할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포지션 크기를 결정하는 최고의 알고리즘을 찾아내는데 도움이 필요하다면 참고 문헌.
손절가를 설정하는 일은 리바운드 스윙 기법을 이용할때 주관적으로 판단할 수 밖에 없는
또 한가지 부분이다. 손절가를 지지 수준 바로 아래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주가가 이전에 형성한 지지선 부근에서 왔다 갔다 하기 때문에
이 지점을 분명하게 찾아내기가 다소 애매한 구석이 있다.
우선 지지선이라고 생각되는 선을 눈대중으로 고르고 , 그 선밑에 있는 가격을 선택하도록 한다.
Congratulations @bumicklee!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Click here to view your Board
Congratulations @bumicklee!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