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에서 배워야 한다.
희망에도 등급이 있다.
간절하면 할수록
크기는 작아지나 에너지는 더욱 강하게 응축된다.
마치 핵 에너지처럼...
그렇다면 간절하지 않으면 희망이 아닌가
그렇지는 않다고 본다.
느슨한 희망은 가까이에 넘쳐나는 것들이고
늘 이루어지거나 이룰 수 있는 것들이다.
그러나
간절한 희망 너머에는 절망, 절망보다 더한 사망이 있기에
그곳으로 넘어가지 않으려는
절망과 맞서는 희망을 세우는 것이다.
그만큼 간절한 희망은 죽음 직전에 기사회상한다.
죽었다는 죽을 수밖에 없다는 판단이 내려졌어도 살아 돌아온다.
"必필死사則즉生생, 幸행生생則즉死사"
"반드시 죽고자 하면 살고, 요행히 살고자 하면 죽는다."
세상을 너무 안일하게 살았나 보다.
과거는 몰라도 현재는 그렇다고 생각된다.
반성해야 하나
아니면 각오를 세워야 하나
생각에 잠긴다.
아니 생각을 버린다.
버린 생각 위로 뭔가 보인다.
절망의 물결이 황톳물처럼 무섭게 흘러가는데 그 위에 희망도 같이 둥둥 떠내려 간다.
희망은 춤추듯 너울 거리리며 절망을 타고 흘러가는데 할 수 있는 게 없다.
저 무지막지한 절망의 물결, 저 물결마저 희망의 물결로 순화시킬 수 있는 방법은 뭘까?
바다에서 배운다.
바다에서 배워야 한다.
일단 받아들여야 한다.
이유나 그 어떤 단서도 필요 없다.
그리고 잠재우면 한숨 자고 나면 푸른 희망의 바닷물이 된다.
수없이 많은 절망을 품어 희망으로 꽃 피어낸 바다
그 바다는 많은 것을 할 수 있다.
많은 것을 하고 있다.
바다에서 배워야 한다.
바다에서...
나도 바다처럼 되고 싶다.
This post has been upvoted by @italygame witness curation trail
If you like our work and want to support us, please consider to approve our witness
Come and visit Italy Community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cjsdns, your post resonated deeply! The analogy of hope as a concentrated energy, like nuclear power, is incredibly powerful. The distinction you draw between "loose hope" and "desperate hope" is thought-provoking, especially the idea that desperate hope rises against the face of death.
The raw vulnerability in your reflection – questioning past complacency and grappling with present challenges – makes your writing relatable and deeply human. The image of hope and despair flowing together is striking, and your conclusion to learn from the ocean, to embrace and transform despair, is both profound and inspiring. Your desire to be like the sea is beautiful. Thank you for sharing this introspective and motivating piece. What specific lessons from the sea are you hoping to implement in your life?